과기정통부, 대상기업 공개…전년보다 58개 늘어
"기업의 정보보호 책임성 및 이용자 알권리 강화 "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보보호 투자, 전담인력, 관련 활동 등 기업의 정보보호 현황을 의무적으로 공시하는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기업안'을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사진=정보보호 공시 종합포털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3/04/23/202304231200372001_l.jpg)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보호 투자, 전담인력, 관련 활동 등 기업의 정보보호 현황을 의무적으로 공시하는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기업'을 공개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올해는 총 655개로 상장회사의 매출액 및 온라인 서비스 이용자 수 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58개사가 추가됐다.
정보보호 공시의무 대상기업은 대·중견 이상의 상장회사, 주요 정보통신 설비를 갖춘 기간통신사업자, 이용자 수가 많아 정보보호 필요성이 큰 온라인 스트리밍 및 SNS 운영사 등이 대상이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와 같은 통신사는 물론 케이블 방송사업자, 메타·구글·넷플릭스와 같은 플랫폼 사업자, 삼성전자·LG전자와 같은 대기업, 그리고 일부 병원도 대상이 된다.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정보보호 투자, 전담인력, 관련 활동 등 기업의 정보보호 현황을 의무적으로 공시하는 '정보보호 공시 의무 대상기업'을 공개했다.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3/04/23/202304231200384289_l.jpg)
과기정통부는 대상 기업을 과기정통부 누리집, 전자공시시스템(공시 종합포털)에 공개했다.
정보보호 공시의무 대상기업은 오는 6월 30일까지 정보보호 공시 내용을 공시 종합포털 제출해야 한다. 정보보호 현황을 공시하지 않으면 경우 최대 1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다.
공시 내용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검증과 수정요청 근거를 마련한 '정보보호산업법' 개정안이 10월 19일부터 시행된다. 이에 따라 공시 검증을 거부 또는 방해하거나 수정요청에 따르지 않아도 최대 1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 대상이 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기업의 정보보호 공시 내용 작성을 돕기 위해 지난 1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6월 초까지 사전점검 지원 및 자료 산출 교육을 집중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정보보호 공시 종합 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창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의무공시 제도 도입 2년 차를 맞아 공시 실무교육 확대, 가이드라인 개정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며 "제도 활성화를 통해 기업은 정보보호 역량 점검 및 투자를 확대하고, 이용자는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확보하여 안전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imi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