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는 23일 부산 유라시아 플랫폼에서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선거구획정안 마련을 위한 부산지역 의견 청취 행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위원회의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 기준에 따르면 독립 선거구 유지에 필요한 하한 인구수는 13만5521명이며, 선거구를 분할할 수 있는 상한 인구수는 27만1042명이다.
이날 의견 청취에서 국민의힘 부산시당 강영완 조직과장은 "전체 국회의원 정수가 현행과 같이 유지된다면, 부산의 국회의원 선거구 정수도 18석 유지돼야 하고 선거구도 조정하지 않고 현행 선거구를 유지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했다.
강 과장은 "현재 부산에서 선거구 조정이 언급되는 지역은 주택 재개발·재건축으로 인해 향후 인구수가 크게 유동적일 가능성이 크다"며 "현재 인구 기준으로 선거구를 조정하면 다음 선거구 획정 때 또다시 선거구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 큰 혼란이 야기된다"고 말했다.
도한영 부산 시민운동단체 연대 운영위원장도 현행 18석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최형욱 수석 대변인은 "현행 18석에다 2석을 더 늘려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먼저 북·강서 갑을 선거구를 북갑과 북을, 강서로 나누자고 했다. 부산 북구는 선거구 분할에 필요한 인구 상한 기준을 넘어섰고, 강서구도 단독 선거구가 될 수 있는 인구 하한 기준을 넘어섰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웠다.
그는 선거구 분할에 필요한 인구 상한 기준을 넘어선 동래 선거구도 갑과 을 선거구로 나눠야 한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참석자들은 부산 지역선거구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획정 방안, 현행 부산지역선거구 의원정수 문제, 지역대표성 강화를 위한 선거제도 개편 방안, 선거구획정을 위한 국회의 조속한 선거제도 확정 촉구 등을 놓고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위원회 측은 "이날 제시된 지역사회의 의견을 참고해 합리적이고 공정한 선거구획정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충분히 논의할 것"이라며 "온-오프라인을 통해 지역민의 다양한 목소리에 계속 귀를 기울이겠다"라고 밝혔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