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출활성화 대책 4일 발표
尹대통령, G20 등 정상회의 참석
尹대통령, G20 등 정상회의 참석
정부가 수출 활성화 대책을 내놓은 것은 거의 10회에 육박한다. 여러 수출진흥책을 발표하면서 매번 총력전을 펼치겠다고 했지만 정부의 예상대로 '상저하고'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문제는 실행력에 있다. 발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효과가 없다면 그 이유를 찾아내 시정해야 한다.
이날 발표 중에 또 강조된 것은 그동안 누차 밝혔던 수출국 다변화다. 중동, 아세안 등 신흥시장에 수주지원단을 파견하고 정책금융을 확대하겠다는,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이 담겼다. 사우디 원팀코리아, 인도네시아·콜롬비아 녹색산업 수주팀이라는 팀을 구성해 파견하겠다는 것이다. 여태껏 이런 구체적 실행방안이 없이 수출국 다변화를 추진했다는 게 의아하다.
'영업사원 1호'를 자처한 윤석열 대통령을 필두로 수출 관련 공직자들이 발벗고 뛰어야 그동안 내놓은 정책들이 효과를 볼까 말까 한 상황이다. 탁상행정에 빠져 입으로만 떠든다고 수출이 저절로 늘지 않는다. 기업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기 위해 현장을 뛰며 하나라도 도울 것이 없는지 찾고 다녀야 한다.
윤 대통령은 5일부터 5박7일 일정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한·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와 인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다.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필리핀 등 10개국으로 구성된 아세안 국가들의 경제적·안보적 위상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인도태평양 전략'의 틀 안에서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을 추진 중이다.
아세안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우리의 대안으로 부상했다. 아세안 10개국의 인구 8억명은 세계 3위이고, 경제규모는 7위권이지만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인구구조가 젊고 연평균 성장률은 5%에 이르며 2030년에는 미국, 중국, 유럽연합(EU)에 이어 세계 4위 경제권으로 도약하겠다는 꿈을 꾸고 있다. 이를 위해 아세안경제공동체(AEC) 구성을 통한 경제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윤 대통령의 아세안 방문은 처음이 아니지만 이번에도 아세안 국가들과 경제적 연대 강화를 방문의 주목적으로 삼아야 한다. 세계 1위 인구 국가가 된 인도도 아세안만큼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세계 5위의 경제대국이다. 인구를 앞세운 발전 잠재력은 아세안을 능가한다.
아세안과 인도의 전략적 중요성을 정부도 인식하고 있다. 대통령실은 수출의 21%를 차지하는 아세안과 인도를 '수출 마이너스 행진'을 끝내는 발판으로 삼겠다고 했다. 그 말대로 정부나 기업이나 관계를 돈독히 하기 위해 더 공격적이고 치밀한 전략을 짜야 한다. 아세안은 일본과 중국이 수십 년 전부터 공을 들여왔기에 그 사이를 치고 들어가려면 여간한 노력으로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고 대중국 관계를 소홀히 할 수는 없다. 미·중 패권 다툼의 과정에서 우리가 피해를 보는 상황이기도 하지만 중국은 여전한 경제대국, 인구대국이다. 미국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지만 한중 관계가 더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한 국익 위주의 전략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