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역세권 사업부지도 공매 위기… 오피스텔 공급 반토막 났다

이종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1.07 18:11

수정 2024.01.09 11:02

심상찮은 인허가·착공물량 위축
서울 40만㎡으로↓10년來 처음
청약 물량·거래도 절반 이상 줄어
PF 경색에 노른자 땅마저 자금난
부도 현장 속출하는 등 사업 좌초
역세권 사업부지도 공매 위기… 오피스텔 공급 반토막 났다
1·2인 가구 및 청년들의 주거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오피스텔의 공급이 씨가 마르고 있다. 수요 위축으로 인허가·착공물량 감소폭이 예사롭지 않은데다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경색으로 노른자 오피스텔 사업부지 마저 잇따라 매물로 나오고 있다.

7일 파이낸셜뉴스가 국토교통부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11월 전국 오피스텔 인허가 물량은 연면적 기준으로 603만2222㎡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1128만4212㎡) 대비 46.5% 줄어든 규모다. 착공물량 감소폭은 더 크다.
2002년 689만2826㎡에서 2023년에는 11월까지 169만5806㎡로 무려 75.4% 줄었다.

서울은 인허가 및 착공 모두 60% 이상 감소했다. 인허가는 2022년 119만7572㎡에서 2023년 1~11월 40만9014㎡로 65.8% 줄었다. 같은기간 착공도 99만7278㎡에서 30만8515㎡로 69.0% 감소했다. 서울의 지난해 인허가 및 착공물량이 30만~40만㎡ 규모로 줄어든 것은 최근 10년 이래 처음이다.

오피스텔 청약물량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를 보면 2022년에는 전국서 84개 단지가 접수를 받았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33개 단지에 불과하다. 거래량도 마찬가지다.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오피스텔 매매 거래량은 지난 2022년 1만5321건에서 2023년에는 8552건으로 수직급락했다. 지난해 거래량은 2021년 2만137건과 비교하면 절반도 안된다.

설상가상으로 PF시장 경색이 심화되면서 서울 노른자 오피스텔 개발 프로젝트도 자금을 구하지 못해 부도 직전에 몰리는 현장이 속출하고 있다.

시행업계에 따르면 A사가 진행하는 서울 신사역 오피스텔 프로젝트의 경우 추가 자금 조달이 막혀 공매 위기에 직면했다.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에서 분양 중이던 한 오피스텔도 시행사가 자금난에 시달리다 공매로 넘어갔다. 지방 곳곳에서도 오피스텔 개발이 좌초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시행사 한 관계자는 "아파트도 PF 자금 마련이 쉽지 않은데 어느 금융기관이 오피스텔에 돈을 빌려주겠냐"며 "오피스텔의 경우 시공을 중견·중소업체가 주로 하다보니 금융기관들이 대출을 매우 꺼리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태영건설 사태 이후 비 아파트 PF 자금 대출은 거의 끊긴 거 같다"고 전했다.

이진 한국부동산개발협회 정책연구실장은 "오피스텔은 주거 사다리로써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상품"이라며 "규제 완화를 통한 공급 확대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한다"라고 조언했다.


앞서 한국부동산개발협회와 대한주택건설협회 등 주택·건설협회들은 정부에 소형 주거용 오피스텔 주택수 산정 제외, 주거용 오피스텔 부가세 면제, 발코니 설치 기준 개선 등 오피스텔 규제개선을 건의한 바 있다.

ljb@fnnews.com 이종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