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시차로 확인에 애로 있어"
트럼프는 25%·행정명령 26% 제시
인도·스위스 등 세율 더 높게 발표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에서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후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한국에 대해서는 25% 상호관세를 산정했다. 2025.04.03.](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03/202504031546152556_l.jpg)
[세종=뉴시스]손차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산 수입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직접 발표한 가운데, 백악관의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의 상호관세율이 명시돼 있어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통상 당국은 미국 대사관을 통해 사실관계를 확인 중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3일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미국 워싱턴D.C 시간이 새벽이라 확인에 애로가 있는데, 미국 대사관 통해 알아보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 시간) 백악관 경내 정원인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를 개최하고 국가별 상호관세 명령에 서명했다. 한국의 대미 관세가 50%에 이른다고 주장하며 25%의 상호관세를 한국산 수입품에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백악관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국가별 관세율표에도 한국은 25%로 표기됐다.
다만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한국의 상호관세율이 26%로 게시됐다.
우리나라 외에도 인도, 스위스, 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 파키스탄, 세르비아, 보츠와나 등도 트럼프 대통령이 들었던 도표보다 관세율이 1%포인트(p)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대미관세가 50% 수준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상호 관계는 9일 발효된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03/202504031546172511_l.jpg)
한편 정부는 이날 발표된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우리 수출에 피해가 예상되자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직후 2시간 만인 이날 오전 7시 긴급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회의를 개최했다.
한 권한대행은 산업·통상 주무 부처인 안덕근 산업부 장관에게 관세 부과로 영향을 받을 업종과 기업에 대한 긴급 지원책 마련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대미 협상에 힘 써줄 것을 지시했다.
안 장관도 긴급 경제안보전략 TF회의에 이어 자동차·반도체·배터리·철강 등 주요 업계를 비롯해 경제단체, 연구기관들과 관세 조치 영향을 분석하고 대책 수립을 논의했다.
안 장관은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미국의 관세조치가 우리 경제 및 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업종별 지원대책을 마련하겠다"며 "정부는 통상교섭본부장 방미를 포함해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민관합동 미국 관세조치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2025.04.0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03/202504031546176235_l.jpg)
☞공감언론 뉴시스 charmi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