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 세계 1위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기업 대만 TSMC가 오는 2028년에 1.4㎚(나노미터·1㎚=10억분의 1m) 기술을 적용한 반도체를 생산한다. 1.4나노 공정은 현재의 3나노 공정
2025-04-24 10:05:49【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가 지역 유망 창업기업인 아이메디텍, 베슬에이아이코리아, 바이오컴, 에스티에이치, 파인트코리아 등 5개사를 'G-유니콘'으로 육성한다. 24일 광주시에 따르면 전날 빛고을
2025-04-24 09:19:23삼성전자가 올 하반기에 출시하는 스마트폰 ‘갤럭시S25 FE’에 자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인 엑시노스 2400e를 재활용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는 곧 차기 AP인 엑시노스 2500의 실패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어 관심
2025-04-24 06:33:56삼성전자가 차세대 메모리인 10나노미터(1nm=10억분의1m) 7세대 D램(1d) 양산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꾸린 것으로 확인됐다. 메모리 초격차 전략 재가동이다. 삼성전자는 고대역폭메모리(HBM)4 개발을 승부처로 삼고, 이
2025-04-23 18:37:55삼성전자는 7세대 D램 양산 태스크포스(TF) 구성 등 초격차 전략 재가동으로 고대역폭메모리(HBM)등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판을 다시 뒤집겠다는 복안이다. 7세대 D램 선제적 개발로 HBM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근원경쟁력
2025-04-23 18:26:05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을 잇는 차세대 메모리 시장인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 D램 메모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CXL 2.0 기반의 D램 설루션 'CMM(CXL 메모리 모듈)-DDR5 9
2025-04-23 18:25:58#OBJECT0#[파이낸셜뉴스]삼성전자가 차세대 메모리인 10나노미터(1nm=10억분의1m) 7세대 D램(1d) 양산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성공을 위해 그 기반이 되는 선단 D램을 타임라
2025-04-23 15:31:54[파이낸셜뉴스]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을 잇는 차세대 메모리 시장인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 D램 메모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CXL 2.0 기반의 D램 설루션 'CMM(CXL 메모리 모
2025-04-23 14:56:17[파이낸셜뉴스] 암세포가 면역공격을 피하는 데 쓰는 단백질을 분해해 암세포를 죽이는 기술이 개발됐다. 23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UNIST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은 암이 면역 회피에 쓰는 단백질을 분해하는 복합체 조립
2025-04-23 09:27:42[파이낸셜뉴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기계로봇공학과 설재훈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전자기기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2차원 물질을 외부 오염 없이 고순도로 확보하고, 이를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는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
2025-04-22 08:5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