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16일 당선자 총회 열고 수습방안 모색
'체질개선' 혁신형 보단 '전당대회' 위한 관리형 비대위로 의견 종합
윤재옥 비대위원장 주장에 "부담 느껴"
차기 원내대표 선출은 내달 초 실시 예정
상임고문·낙선자 등 의견 수렴도 박차
'체질개선' 혁신형 보단 '전당대회' 위한 관리형 비대위로 의견 종합
윤재옥 비대위원장 주장에 "부담 느껴"
차기 원내대표 선출은 내달 초 실시 예정
상임고문·낙선자 등 의견 수렴도 박차

[파이낸셜뉴스] 4·10 총선 참패로 당 수습방안을 모색중인 국민의힘이 '실무형 비상대책위원회 구성후 전당대회 지도부 선출'로 재정비 방향의 가닥을 잡았다.
국민의힘은 16일 국회에서 22대 총선 당선인 총회를 갖고 새 지도부 선출을 전제로 한 전대 개최를 위해 '실무형 비대위'를 꾸리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번에 비대위가 꾸려지면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주호영·정진석·한동훈 비대위에 이어 4번째다.
윤재옥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은 당선자 총회 후 취재진과 만나 "혁신형 비대위를 할 상황은 아니다"라며 "전당대회를 치르기 위한 실무형 비대위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일부 당선자들은 총회에서 윤 당 대표 권한대행이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날 위원장 인선은 결정되지 않았다.
일단 국민의힘은 내달 2일로 예정된 채상병 특검법을 마무리 지은 후 차기 원내대표에게 전권을 넘기기로 가닥을 잡았다.
실무형 비대위의 성격이 당내 혼란 수습과 전대 관리를 위한 임시 지도부인 만큼, 차기 지도부 구성을 위한 전당대회를 안정감 있고 빠르게 준비할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부에선 '한동훈 비대위' 사퇴로 당 지도부가 공백인 만큼 총선체제를 진두지휘함으로써 유일하게 연속성을 가진 윤 권한대행이 비대위원장으로 나서 당의 전열 재정비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안철수 당선인은 "저는 부담은 되지만 윤 권한대행께서 이 일을 계속하는 것이 연속 선상에서 제일 무난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차기 지도부의 연속성을 위해 윤 권한대행이 비대위원장 임명권을 차기 원내대표에게 넘겨줘야 한다는 반론도 제기됐다.
윤 권한대행도 임기가 21대국회까지인 데다 공동선대위원장으로서 총선 패배의 연대 책임이 있는 만큼 본인이 비대위원장을 맡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전해졌다.
배준영 사무총장 직무대행은 "윤 권한대행이 전당대회를 마무리해줬으면 하는 의원들이 있었는데, 특검 등 야당의 파상공세로 과부하가 걸려 비대위까지 짊어지고 가기엔 힘드신 모양"이라고 설명했다. 총회에 참석했던 한 관계자는 "윤 권한대행이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는 주장에 확답을 주지 않았다"며 "윤 권한대행이 비대위원장을 할 이유도 없다"고 전했다.
22대국회 첫 국회운영을 진두지휘할 새 원내대표는 늦어도 내달 10일 이전에 선출할 예정이다.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등 범 야권이 내달 2일 본회의를 열어 '채상병 특검법' 처리를 공언한 만큼, 윤 권한대행이 이를 마무리 짓고 이후 정국 협상의 주도권은 차기 원내대표가 갖는게 합리적이라는 게 여당의 판단이다. 다만 이날 총회에선 채상병 및 김건희 여사 관련 특검 얘기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윤 권한대행은 당선자 총회에 이어 당 상임고문과 낙선자 등 다양한 당내 구성원으로부터 당 전열 재정비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17일 당 상임고문 모임에 이어 19일에는 낙선자 모임을 갖고 낙선 후보들을 위로하고 당 화합에 힘을 보태줄 것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knight@fnnews.com 정경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