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李 형사처벌 해야" "尹탄핵 서둘러라"… 정쟁으로 더 뜨거워진 광장[헌재의 시간]

김학재 기자,

김동규 기자,

장유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30 18:11

수정 2025.03.31 07:10

이재명 무죄 선고 이후 첫 주말
전국에 반탄 4만·찬탄 2만 몰려
(출처=연합뉴스)
(출처=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변론종결 이후 한달이 지났음에도 선고가 거듭 연기돼 각종 추측 속에 윤 대통령 탄핵찬반 진영의 장외 여론전이 꾸준히 전개되고 있다.

지난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탄핵안 기각으로 복귀했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공직선거법 항소심 무죄 선고를 받는 등 정국이 요동을 치면서 탄핵 찬반집회 진영 사이에는 긴장감이 감돌았다.

30일 경찰 비공식 추산에 따르면 전날 전국적으로 열린 '탄핵 반대' 집회 규모는 총 4만100여명으로, '탄핵 찬성' 집회 규모는 최대 1만9600여명으로 추산됐다.

자유통일당 주최로 광화문에서 열린 탄핵 반대집회에 최대 3만명이 모였고, 개신교계 단체 세이브코리아가 전국 9개 지역에서 개최한 탄핵 반대집회에는 9600여명이 참석했다.

전날 광화문에서 열린 탄핵 반대집회에는 다른 날의 집회 때와 달리 이재명 대표의 형사처벌 등을 바라는 목소리가 유달리 높았다.

집회에 참석한 최모씨는 "계엄 선포부터 탄핵까지 이 모든 게 이 대표 때문에 일어났다"며 "부정선거로 당선된 국회의원들이 이 대표를 옹호하고 윤 대통령을 궁지로 몰아넣으니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령을 선포할 수밖에 없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같은 날 안국역 일대에선 열린 탄핵 찬성 사전집회 이후 퇴진비상행동이 경복궁 앞 동십자각에서 집회를 열었다. 집회 한쪽에서 일부 시민들은 '민주묘총' '말벌시민연대' '호그와트 4학년 연합' 등의 깃발을 들고 음악에 맞춰 이를 흔들기도 했다. 촛불행동 집회에 참석한 한 시민은 "제주도에서 혼자 왔는데, 화요일부터 매일 집회에 참석하고 있다"며 "헌재가 빨리 선고를 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3월 한달간 주말에 열린 탄핵 찬반 집회 추이를 살펴보면 3·1절에 12만명 이상이 탄핵 반대집회에 집결하면서 세를 과시했고, 윤 대통령 구속취소 이후에도 6만명대 탄핵 반대집회 규모를 이어갔다. 이후 주말마다 4만명대 규모의 탄핵 반대집회 여론이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와 관련, 광장 여론을 중시하는 야권이 지지자의 참석을 늘리려 해도 확실히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정국과 달리 탄핵 찬성에 대한 장외여론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오히려 탄핵 반대여론이 더 결집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김동규 장유하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