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자금 마련 나선 국제기구
적십자 "조만간 2차 위기" 경고
적십자 "조만간 2차 위기" 경고

미얀마의 지진 사망자가 1700명에 이른 가운데 세계보건기구(WHO)가 최고 등급의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긴급 자금 마련에 나섰다. 국제기구들은 내전 중인 미얀마의 열악한 구조 및 의료 체계로 인해 질병 확산 등 2차 위기가 예상된다고 경고했다.
프랑스 AFP통신에 따르면 유엔 산하 WHO는 3월 30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미얀마 지진 피해를 "긴급 대응 체계에서 가장 높은 등급인 '3급 비상사태'로 분류했다"고 밝혔다. 이어 "미얀마 내 부상자와 외상 환자가 많고 의료 환경이 열악해 질병 확산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WHO는 "전기와 식수 공급 중단과 의료 접근성의 악화로 질병 발병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외상 환자는 감염 및 합병증 위험이 매우 높은 상황이라 긴급 치료와 감염 예방을 위한 의료 지원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WHO는 향후 30일간의 긴급 의료 지원을 위해 800만달러(약 117억6800만원)가 필요하다며 "생명을 구하고 질병 확산을 방지하며 필수 의료 서비스를 안정화하고 회복하기 위한 자금이 즉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같은날 국제적십자연맹(IFRC)도 성명을 내고 미얀마 피해를 수습하기 위해 1억스위스프랑(약 1669억원) 규모의 긴급 모금 운동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IFRC는 이날 성명에서 이번 모금을 통해 "향후 24개월 동안 10만명에게 생명 구호와 초기 복구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IFRC는 "기온이 오르고 있는 데다 몇 주 안으로 몬순 기간이 다가와 2차 위기가 발생하기 전에 긴급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얀마에서는 지난 28일 오후 12시 50분 무렵에 중부 만달레이를 중심으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만달레이 북부에서는 30일에도 규모 5.1의 지진이 관측됐다. 미얀마 군사정부는 30일 발표에서 28일 이후 약 1700명이 사망했으며 3400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미얀마 군사정부의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최고사령관은 28일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우리 나라에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도우려는 단체나 국가는 와달라"라고 요청했다. 취임 이후 대대적인 해외 지원 삭감에 나섰던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날 미얀마를 돕겠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유럽연합(EU), 러시아도 지원 의사를 밝혔으며 유엔은 500만달러규모의 초기 긴급 지원을 약속했다.
박종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