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中브랜드 성장에 현지화전략 부족
5년간 판매대수·점유율 지속 감소
BYD 등 진출에 내수시장도 위태
5년간 판매대수·점유율 지속 감소
BYD 등 진출에 내수시장도 위태

중국 내 완성차 업체들의 경쟁이 심화하면서 현대자동차·기아의 판매 대수(이하 도매 기준) 및 점유율이 5년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그룹이 최근 미국 내 대규모 투자 발표를 하며 경쟁력 확보에 나섰지만, BYD나 지커 등 중국 완성차 브랜드들의 본격적인 한국 침투 대비를 위해 서둘러 경쟁력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월 3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의 중국 내 판매대수 및 점유율이 지속 감소하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 2020년 중국 내 판매 대수 44만대, 점유율 2.3%였지만 2021년 35만대 1.8%로 줄었다. 이후 2022년 25만대 1.2%, 2023년 24만2000대 1.1%, 2024년 12만5000대 0.6%로 지속 하락했다.
같은 기간 기아도 2020년 판매량 22만5000대, 점유율 1.1%에서 2024년 7만8000대, 0.3%까지 크게 줄었다. 그나마 새롭게 공개한 EV5 효과로 전기차 판매 비중은 6.5%로 소폭 늘었다.
최근 5년 현대차·기아의 중국 내 판매가 감소한 이유는 △중국 브랜드 성장에 따른 경쟁 심화 △전기차 라인업 부재 △현지화 전략 부족 등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내 전기차 수요가 크게 늘어나며 기존 내연기관, 하이브리드 차량 수요는 줄었다"며 "BYD, 니오, 지커, 샤오펑 등 중국 브랜드들이 빠르게 성장해 선택지가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중국 전통 브랜드들의 한국 진출이 임박했다는 점이다. 현대차·기아의 중국 내 점유율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내수 시장까지 중국에 빼앗기면 기업 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다. 이에 따라 중국 내 현대차·기아 경쟁력 제고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들은 현지화 및 신차 출시, 모터쇼 참가 등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자동차와 중국의 베이징자동차(BAIC)가 합작해 만든 베이징현대는 올해 현지 전략형 순수전기차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말 상하이에 '포워드 테크놀로지 연구개발(R&D) 센터'를 출범했다.
기아는 올해에도 광저우 국제 자동차 전시회에 참가한다. 아직 라인업이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전기차 신차 중심 전시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아는 앞서 지난해 행사에서 EV5, EV6, 2025년형 기아 K5, 셀토스 등 다양한 모델을 소개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 입장에서는 올해 중국 점유율 반등이 절실할 것"이라며 "현지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전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