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3월 물가 2.1%↑, 3개월째 2%대…'장바구니 물가' 불안(상보)

뉴스1

입력 2025.04.02 08:16

수정 2025.04.02 08:37

3월 30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맥주를 고르고 있다. 2025.3.30/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3월 30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맥주를 고르고 있다. 2025.3.30/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세종=뉴스1) 전민 김유승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 대비 2.1% 오르며 석 달 연속 2%대 오름세를 이어갔다. 상승폭은 2월보다 0.1%포인트(p) 확대됐다.

식품업계가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선 가운데 가공식품이 3.6% 상승했고, '장바구니 물가'인 생활물가지수가 2.4% 올라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2025년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29(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1.3%까지 낮아졌다가 반등해 11월 1.5%, 12월 1.9%를 기록했으며, 올해 1월 2.2%, 2월 2.0%에 이어 3월에도 2.1%로 2%대 상승률을 유지했다.



품목 성질별로 상품은 전년 동월 대비 1.7% 올랐다. 농축수산물은 0.9%, 공업제품은 1.7%, 전기·가스·수도는 3.1% 각각 상승했다.

공업제품 중 가공식품은 전년 동월 대비 3.6% 상승해 물가를 0.3%p 끌어올렸다. 2월(2.9%)보다 상승 폭이 0.7%p 커졌다. 2023년 12월(4.2%)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석유류는 전년 동월 대비 2.8% 오르며 물가를 0.11%p 올렸다. 다만 상승 폭이 2월(6.3%)보다 줄었다.

서비스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3% 상승했다. 집세는 0.7%, 공공서비스는 1.4%, 외식은 3.0%, 외식을 제외한 개인서비스는 3.2% 각각 상승했다.

가격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해 물가의 추세를 잘 나타내는 근원물가지수는 112.52(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했다. 이는 전월과 같은 수준이다.

또 다른 근원물가지수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14.37(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올라, 전월(1.9%)보다 0.2%p 확대됐다.

'장바구니 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119.47(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그중 식품은 2.8%, 식품 이외는 2.3% 각각 올랐다.

계절 및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38.58(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1.3% 하락했다.

그중 신선어개는 3.6%, 신선채소는 1.8% 각각 상승했지만, 신선과실은 6.1% 하락했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