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순회경선 통해 이달말 후보 선출
내실 있는 민생공약으로 외연 확장 나서
내실 있는 민생공약으로 외연 확장 나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시작된 조기대선 정국 초반 승기를 잡은 더불어민주당은 '절제모드'와 '내실 있는 속도전'으로 본격적인 경선체제에 대비할 방침이다. 무엇보다 두달이라는 짧은 조기대선 정국에서 '탄핵 효과'에 취하지 않으면서 민생경제를 고리로 '준비된 대통령' '준비된 수권정당' 면모 부각에 나섬으로써 더욱 확실한 정권교체 명분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사실상 일극체제인 이재명 대표의 경우 금주 중 대표직을 사퇴하고 대선 출마를 공식화할 것으로 보인다.
6일 민주당에 따르면 조기대선에 임하는 기본적인 전략적 얼개로 '절제모드'와 '내실 있는 민생공약 제시'에 방점을 뒀다.
당 사무를 총괄하는 김윤덕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윤석열 파면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김 사무총장은 "(한덕수) 권한대행이 지금 집중해야 하는 일은 민생이며, 특히 미국 관세정책 대응도 매우 시급하다"며 "추경도 서둘러 국회에 제출해야 하니 경기회복과 민생경제 활력을 제고하는 데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를 위해 민주당은 기존 정부의 10조원 규모의 필수추경을 대폭 증액해 내수회복을 위한 지역화폐나 전 국민 소비쿠폰 등 다양한 '추가 옵션'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각 상임위원회와 연관된 청년·노인·금융·연금·교육 개혁 등 주요 분야에서 이재명표식 구상이 담긴 대책을 토대로 정책 수용성을 대폭 끌어올림으로써 수권정당으로서 존재감을 부각시키려는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은 조국혁신당이 주장하는 범야권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해선 부정적 입장이다. 여기에는 공정한 룰을 적용한 당내 경선시스템을 통해 가장 유력한 대권주자인 이재명 대표를 선출하는 데 전체 야권이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기조가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단 늦어도 이달 말까지는 비명계 주자들을 포함한 권역별 순회경선을 통해 대선후보를 선출, 남은 선거 기간 민생정책이 녹아든 대선공약 제시로 반(反)이재명 세력을 포함해 중도층 끌어안기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비명계에선 김두관 전 의원이 7일 첫 대선 출마를 공식화하며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이번 주 중 공식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비주류인 박용진 전 의원은 불출마의사를 밝혔다.
jiwon.song@fnnews.com 송지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