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하나 물어보면 열 알려주는 '키우ME'로 투자 결정 쉽게" [fn 이사람]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06 19:19

수정 2025.04.06 19:19

이택헌 키움증권 AIX팀 이사
작년 AI 자산관리 챗봇 개발 시작
최근 '키우ME'오픈베타 선보여
최신뉴스부터 주식 정보 등 섭렵
답변 동시에 예상 후속질문 제시
투자 아이디어 구체화할 수 있어
이택헌 키움증권 AIX팀 이사 키움증권 제공
이택헌 키움증권 AIX팀 이사 키움증권 제공

"인공지능(AI) 자산관리 챗봇 '키우미(Me)'로 투자자의 합리적 판단을 돕겠습니다."

키움증권 AIX팀 이택헌 이사(사진)는 6일 "주식, 상장지수펀드(ETF), 펀드, 채권 등 금융상품 관련 전문 콘텐츠를 마련하고 최신뉴스와 상품설명서 등 방대한 투자정보를 참고하는 생성형 AI 에이전트 시스템을 결합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정 상품을 추천 및 매수를 유도하는 형태가 아니라 투자 결정을 돕는 '코파일럿(부조종사)' 역할을 키우Me가 하겠다는 포부다.

키움증권은 지난해 초 외부전문가를 영입하고 AIX팀을 신설해 AI 자산관리 챗봇 개발에 착수했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신한은행 AI센터, KB국민은행 금융AI센터 등을 거쳐 지난해 3월 키움증권에 합류한 이 이사는 최근 키우Me 시험판(오픈베타버전)을 선보였다.

앞서 지난달 비공개로 진행된 테스트를 통해 약 3600명의 투자자가 제시한 6만여개 질문을 바탕으로 AI답변품질 검증 및 고도화 작업까지 마친 결과물이다. 키우Me를 통해 어렵고 복잡한 금융상품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춰 체계적인 자산관리 서비스까지 지원하겠다는 목표다.

그는 특히 키우Me의 객관성 및 중립성과 관련, "키우Me는 펀드, 채권, 주가연계증권(ELS)·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 연금 및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등 금융상품을 기간수익률, 설정액, 판매액, 이자율 등 핵심정보를 기준으로 이용자 질문에 따라 답변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반 투자자들은 이른바 '개인화 연관질문'을 통해 투자 아이디어도 구체화할 수 있다. 답변과 함께 예상 후속질문이 제시되기 때문이다. 일례로 미국증시 시황을 물어본 투자자에게 답변을 하는 동시에 '미국시장 주요 이슈 알려줘' 등의 후속 질문도 제시한다. 이 이사는 "키우Me는 기존 시나리오 기반 챗봇, 의도분류형 챗봇, 생성형 AI를 통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로 구성해 질문 유형에 따라 최적화된 응답을 구현하고 있다"며 "자연스러운 후속 질문 흐름을 유도하는 연관질문 기능도 도입해 체류시간을 늘리고 자산관리 등 시야도 넓힐 수 있도록 했다"고 강조했다.

키우Me는 시시각각 변하는 정보도 반영하기 위해 검색증강생성(RAG) 방식을 활용했다.

이 이사는 "최신뉴스, 시황, 상품설명서 등 외부 정보를 기반으로 키우Me의 응답품질을 보완하고 있다"며 "생성형 AI가 임의로 답변하지 않고 검색 정보를 기반으로 답변을 주는 체계가 잡혀 있어 정확성과 시의성을 두루 확보할 수 있다"고 전했다.

키움증권은 향후 키우Me에 해외 주식 관련 콘텐츠를 확충할 계획이다. 또 ETF, 펀드, 채권 간 비교 기능도 중점과제로 보고 있다.

그는 "키우Me는 현재 오픈베타 단계로서 직접적인 수익화보다 고객접점 확대와 피드백 수렴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향후 점진적인 고도화에 따라 키우Me를 통해 키움증권 플랫폼 안에서 투자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간접적인 수익 구조도 형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