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신소재공학과 오승수 교수팀은 우리 몸 속의 특정 단백질만 골라서 정밀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기술은 복잡한 생체 환경에서 마치 '나노 택배'
2025-03-26 11:03:32[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POSTECH) 화학공학과 김진곤 교수팀은 서울대 한정우 교수팀과 협력해 이산화탄소를 산업에 유용한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촉매는 질소가 첨가된 그래핀에
2025-03-21 14:17:19[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박승열 교수팀은 패혈증 환자의 혈액에서 특정 단백질에 당분자의 결합하는 방식의 변화로 과도한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10일 밝
2025-03-10 14:41:40[파이낸셜뉴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문제일 교수가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한 공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6일 DGIST에 따르면, 문제일 교수는 국제기구 대한민국 과학위
2025-03-06 14:15:35[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친환경소재대학원·신소재공학과 박규영 교수팀이 나노 스프링으로 리륨이온 배터리의 수명과 에너지 밀도를 높였다고 5일 밝혔다. 배터리 양극재 표면을 탄소나노튜브와 나노
2025-03-05 14:29:56[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팀은 금속의 강도와 연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기술은 나노 스케일 플라즈마 질화법으로 스마트폰에 보호필름을 붙이듯
2025-03-04 14:57:21삼성전자와 포항공대(POSTECH)가 산학 협력을 통해 진행한 '무색수차 메타렌즈' 연구 논문이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향후 메타렌즈 연구를 발전시켜 스마트폰이나 디스플레이, 확장현실(XR) 기기 등에도
2025-02-25 18:09:59[파이낸셜뉴스] 삼성전자와 포항공대(POSTECH)가 산학 협력을 통해 진행한 '무색수차 메타렌즈' 연구 논문이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향후 메타렌즈 연구를 발전시켜 스마트폰이나 디스플레이, 확장
2025-02-25 09:46:49[파이낸셜뉴스] 포항공대(POSTECH) 화학공학과 전상민 교수, 최지훈 박사팀은 태양열과 바람을 활용해 바닷물을 식수(담수)로 만들 수 있는 '회전형 3D 태양열 증발기'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장치는 기존의 태
2025-02-14 11:26:39[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POSTECH) 신소재공학과 정성준·김성주 박사팀은 삼성디스플레이 강동진 박사와 공동 연구를 통해 액체 상태의 고분자를 건조시켜 얇은 막으로 차세대 고품질 디스플레이를 생산할 수 있는
2025-02-10 14: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