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자체도 반대하지만, 제2공항 결론 안나”
“전남도 일방적 주장…제주도민 주권적 사항”
“전남도 일방적 주장…제주도민 주권적 사항”

【제주=좌승훈 기자】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광주·전남 정치권에서 호남과 제주를 잇는 해저고속철도사업을 공론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해 일방적 주장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경제적 타당성이 낮고, 청정 제주의 보존에 적합하지 않은 데다 섬 고유의 정체성도 파괴할 것이라는 시각이다.
원 지사는 18일 오후 진행된 제주도의회 제389회 제2차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호남-제주 해저고속철도사업에 대해 전남-제주 해저터널 건설에 대한 입장을 묻는 이경용 의원(국민의힘, 서귀포시 서홍동·대륜동)의 질의에 “논의하는 것 자체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전남지사로 재직할 당시 해저터널 추진단을 구성한 바 있다”면서 ”이 대표가 대통령이 되면 해저터널을 국책사업으로 진행할 것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최근 전남도 또한 해저고속철도를 내년 국가도로계획에 반영시키기 위해 적극 나선다는 방침을 세워 귀추가 주목된다.
답변에 나선 원 지사는 섬이라는 제주의 정체성을 언급하며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원 지사는 “제주의 정체성을 섬으로 계속 유지할 것인가라는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며 “이는 제주도민 정체성과 연결되고, 제주도민 주권적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원 지사는 이어 “누가 제주를 일방적으로 육지에 터널로 연결해라 말라 할 수 있겠느냐”며 “해저터널이 건설되면 목포-해남-고길도-추자도-제주도가 정거장으로 연결되면서 아마 관광 형태가 당일치기 형태로 바뀌게 될 것”이라며 “이런 근본적인 변화를 우리 도민들이 받아들일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제주의 내륙화 가속과 정체성 급변으로 제주만의 독특한 경쟁력을 오히려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과 다름 아니다.
원 지사는 특히 경제적 타당성도 언급했다. 원 지사는 “10년 전 13조원이었던 건설비가 해마다 1~2조씩 늘어 현재 20조원까지 제시되고 있다”면서 “이자율이 5%라고 치면, 1년 동안 1조원의 이자비용이 발생한다. 여기에다 20~30년에 이르는 건설기간에 대한 감가상각비와 운영비도 있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또 “수익과 관련해 해상물류비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해상물류비는 200억원이면 해결된다. 그럼 결국 여객운송비로 충당해야 할 텐데 1년에 1000만명이 오더라도 1조원의 운송수익을 받으려면, 1회에 10만원씩 받아야 한다. 이런 점 때문에 경제성에도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몇 년 전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국토철도계획에 해저터널을 자꾸 반영하려고 할 때 제주도는 공식적으로 반대했다”며 “내용 자체에 대해서도 반대하지만, 제2공항이 결말이 안 된 상태에서 전라도가 일방적으로 제기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는 게 공식적인 입장”이라고 잘라 말했다.
jpen21@fnnews.com 좌승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