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료 출신들 '정치인 근육' 없어"
"싸우는 것 싫고, 자기 일만 하는 게 좋은 사람들"
"싸우는 것 싫고, 자기 일만 하는 게 좋은 사람들"

[파이낸셜뉴스]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는 15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설'에 대해 "탄핵 정권의 총리가 다음 대통령으로 나오는 것은 정치적 책임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진 교수는 전날 방송된 시사저널TV 《시사끝짱》에 출연해 "대통령 유고 상태에서 권한대행은 선거 관리를 해야 하는데, 자기가 공고한 선거에 나온다(출마한다)는 것은 우스운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진 교수는 한 권한대행이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보수 성향의 이완규 법제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지명하면서 '보수 집토끼 유권자'의 호감을 얻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엘리트 관료 출신으로서의 안정감이 중도층에게 소구하는 강점이라고 봤다.
다만 그는 "탄핵 정권의 총리면 대통령의 '순장조'(처음과 끝을 함께하는 참모 그룹)가 되는 게 마땅하다"며 "(대통령 출마는) 참 모양 빠지는 수"라고 비판했다.
진 교수는 2017년 대선 출마를 시사했다가 3주 만에 불출마를 선언했던 반기문 전 유엔(UN) 사무총장 전례를 언급하며 "관료 출신들은 '정치인의 근육'이 없다. 싸우는 것은 싫고, 그냥 조용히 자기 일만 하는 게 좋은 사람들"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렇다 보니 카운터펀치도 아니고 잽 몇 방에 무너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며 "특히 민주당은 마타도어(흑색선전)의 귀재들이다. 민주당이 한 대행의 부인 문제 등을 노리고 있는 것 같은데, 결국 한 대행이 힘없이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진 교수는 "그럼에도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이 자기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한 권한대행의 출마를 부추기는 물밑 흐름이 있다"며 "(한 권한대행이) 무소속으로 출마해서 나중에 (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 식으로 가는 시나리오로 갈 것 같다"고 전망했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