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고려대, 수학 모델 분석
국내 공동연구진이 바이러스 전파율이 낮은 경우에 비해서 전파율이 높은 경우, 오히려 코로나19의 중증화 비율이 감소되고 토착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전파율이 높은 경우에는 중증 비율 뿐만아니라 전체 중증 환자수도 감소된다고 발표했다.
다만, 연구진은 바이러스 전파율이 높아질 경우 환자 수가 급증할 수 있기 때문에 백신 접종이 인구의 80% 이상 충분히 이뤄지고 중환자 관리 의료체계가 갖춰진 후에 방역 정책 완화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KAIST 김재경 교수와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노지윤 교수, KAIST 신의철 교수 등으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이 코로나19 수학 모델 분석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바이러스 전파율이 변화하면 코로나19 토착화의 과정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분석했다.
노지윤 교수와 신의철 교수는 "오미크론이 우세 종이 되고 코로나19 환자 수가 급증하는 현 상황에서 무조건 두려워만 할 것이 아니라 과학적 접근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진이 가정한 바이러스 전파율이 높아지는 상황은, 실제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나 오미크론 등 전파가 잘 되는 변이주의 출현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오미크론 자체의 낮은 위중증 성질은 배제하고, 높은 전파율이 일으키는 결과를 예측한 것이다.
연구진은 연령이나 기저질환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위중증률을 수학 모델에서 고려하지 않았다. 연구진은 "특히 고위험군 집단을 대상으로 이번 연구 결과를 적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바이러스 전파율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코로나19 환자 수가 너무 많아지면 의료체계가 붕괴될 수도 있으므로, 이점을 고려해 연구 결과를 신중하게 해석,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진은 말했다. 그러면서 "향후 단계적 일상회복 정책으로 다시 전환할 때는 그 무엇보다도 위중증 환자를 수용할 병상 확보 등 의료체계의 정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