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관련 특허출원 최근 10년간 28배 성장
- 삼성 1위·LG 10위 등 韓기업 출원 주도
- 삼성 1위·LG 10위 등 韓기업 출원 주도

[파이낸셜뉴스 대전=김원준 기자] 미국 인공지능회사 오픈AI사가 공개한 대화형 인공지능(AI)인 '챗GPT(ChatGPT)'가 사회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챗GPT의 기반이 되는 초거대 AI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특허 경쟁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19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식재산권 5대 주요국(IP5-한·미·일·중·유럽)에 출원된 초거대 AI관련 특허출원은 지난 2011년 총 530건에서 2020년 1만4848건으로 최근 10년 사이 28배 늘었다. 연평균 44.8%증가한 수치다. 특히, 지난 2016년 알파고 등장 이후 AI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진 최근 5년(2016~2020년)간 연평균 증가율 61.3%로 출원 증가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출원인을 국가별로 보면 미국(35.6%·1만5035건), 중국(31.0%·1만3103건), 일본(11.6%·4906건) 순이었다.
우리나라는 2011년 연간 6건 출원에 그쳤지만 2020년에는 연간 1912건에 달해 319배나 급성장했으며 2019년부터는 연간 출원량이 일본을 추월했다.
초거대 AI의 기술개발 트렌드를 보면 데이터 생성 기술 비중이 69.3%로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학습모델(25.8%)과 특화서비스(16.4%) 기술 비중이 뒤를 이었다. 이 가운데 초거대 AI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는 ’학습모델‘ 관련 출원 비중이 빠르게 증가(연평균 75.9%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5년 동안은 매년 126.3%씩 증가하고 있어 이 분야의 연구개발이 특히 활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주요 출원인을 보면 1위 삼성(1213건·2.9%), 2위IBM(928건·2.2%), 3위 구글(824건·2.0%), 4위 마이크로소프트(731건·1.7%), 5위 바이두(572건·1.4%) 순으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의 세계 출원순위는 1위 삼성, 10위 LG(384건·0.9%), 25위 스트라드비젼(209건·0.5%), 36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57건·0.4%), 66위 한국과학기술원(80건·0.2%) 등이었다. 국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벤처기업, 연구기관, 대학 등 다양한 분야의 출원인들이 세계적인 특허 경쟁력을 갖췄다는 분석이다.
박재일 특허청 인공지능빅데이터심사과장은 “초거대 AI는 전·후방 산업에 파급력이 큰 기술로 우리나라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한 신성장 동력”이라며 “우리 기업의 신기술 개발 및 특허 전략 수립에 필요한 특허 동향 분석을 지속해서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