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고재서'의금상경’展 25일까지

우리민족은 '백의민족'이라고 불리며 흰옷을 입고 흰색을 좋아했다. 산과 물을 그릴 때는 화면을 꽉 채우는 대신 '여백의 미'를 중시했다. 또 한국의 현대 미술 작가들도 세계에서 '단색화'를 통해 알려지며 '더하기'보다 '덜어냄'의 미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서울 종로구 학고재 갤러리는 이같은 우리 현대미술의 사유와 미의식을 '의금상경(衣錦尙絅)'으로 정의하고 15명 작가의 작품 55점을 전시하고 있다.
오는 25일까지 진행하는 '의금상경'전은 동아시아의 원초적 미의식이자 현대회화에 여전히 흐르고 있는 정신이다.
한국 단색화의 대표 주자로 손꼽히는 최명영은 붓이나 기타 매체를 거치지 않고 손가락(지문)으로 직접 물감을 발라 선과, 점, 면의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백색 회화의 거장 이동엽은 우리나라 단색화가 최초로 알려지게 된 1975년 일본 도쿄갤러리 전시에서 극찬받으며 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유일한 중국 작가로 자연에 대한 무차별적 바라보기를 실천하는 왕쉬예의 작품은 한국미술 작가와는 또다른 매력을 선사한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