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첨단 반도체 등에 사용되는 갈륨, 게르마늄에 대한 수출을 다음달 1일부터 통제한다. 중국 상무부는 이들 광물의 원료를 반출하려면 구체적인 해외 구매자 정보를 보고해 상무부 허가를 받도록 한 조치를 4일 발표했다. 갈륨과 게르마늄은 중국이 전 세계 생산의 94%, 90%를 차지한다. 희귀금속은 아니지만 중국이 장기간 저가에 수출하는 바람에 압도적 경쟁력을 갖게 된 광물이다.
중국 발표는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의 방중을 사흘 앞둔 시점에 나왔다.
미중에 낀 우리 기업 처지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의 갈륨, 게르마늄 수출통제가 당장 국내 업계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다. 갈륨과 게르마늄은 국내 주력분야인 메모리반도체 핵심소재로 분류되진 않는다. 하지만 갈륨은 전력반도체의 차세대 소재로 꼽힌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파운드리 포럼에서 2025년 8인치 웨이퍼 질화갈륨 전력반도체 파운드리 서비스를 시작하겠다는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중국의 수출통제가 장기화되면 기업들 피해가 불 보듯 뻔하다.
광물 수요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해외 자원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광물 수요의 95%를 수입에 의존한다. 그중에서도 중국 의존도는 심각하다. 이차전지 양극재 소재인 탄산망간은 100%, 황산코발트는 97% 중국산이다. 전기차와 풍력발전기 모터의 핵심 원료들도 마찬가지다. 칠레, 호주 등으로 수입처 다변화에 속도를 내야 한다. 민간 중심의 해외 광물자원개발은 무엇보다 절실한 과제다. 우리나라는 니켈, 아연, 구리 등 6대 핵심광물 자급률이 현저히 낮다. 자원무기화 시대 우리의 대응력을 필사적으로 높여야 할 것이다.
jins@fnnews.com 최진숙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