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30개국, 한류 관련 68만건 자료 분석
K팝·푸드·영화·드라마 비롯 '코리아하우스' 화제
K팝·푸드·영화·드라마 비롯 '코리아하우스' 화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정보원은 25일 해외 한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2024년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는 지난 2023년 10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외신 기사와 누리소통망에서 한류 관련 자료 68만건을 수집·분석한 보고서로, 2023년 4분기부터 2024년 3분기까지의 연간 보고서 1종과 분기별 보고서 4종 등 총 5종으로 구성됐다.
먼저, 대륙별 한류 현황을 살펴보면 아시아(50.6%), 유럽(27.5%), 북미(13.6%) 순으로 한류 관련 기사가 많이 보도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대륙은 모든 콘텐츠에서 평균을 웃도는 보도량을 보였다.
콘텐츠별로는 아시아, 유럽, 중남미 대륙에서는 케이팝 콘텐츠 관련 비중이, 북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서는 한국 음식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별로는 인도, 미국, 태국, 튀르키예 순으로 한류 관련 보도가 많았다. 인도, 태국, 필리핀에서는 K팝 비중이, 나이지리아, 미국, 영국에서는 한국 음식 비중이 높았다. 또 튀르키예에서는 한국 드라마 콘텐츠가, 중국은 한국 영화 콘텐츠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대다수 대륙별 주요 관심사는 K팝으로 분석됐지만, 북미 대륙에서는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치의 날 제정과 김치의 효능, 불닭볶음면 유행에 관한 보도와 언급이 많았고, 주요 화제어는 '김치', '소주', '비빔밥', '불닭볶음면'이었다.

한국 영화와 드라마도 많은 관심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파묘', '베테랑2', '범죄도시4', '콘크리트 유토피아', '오징어게임2', '눈물의 여왕', '선재 업고 튀어' 등의 화제작들이 여러 대륙에서 고루 주목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지난해 열린 '파리올림픽'도 검색량에 영향을 끼쳤다. 역대 최대 규모로 마련된 '코리아하우스'를 비롯해 방탄소년단(BTS)의 멤버 진의 성화 봉송, '코리아시즌 2024' 개최, 팀코리아 응원봉을 활용한 단체 응원전 이슈가 높은 관심을 얻었다.
한편, '글로벌 한류 트렌드 분석 연간 보고서'와 '분기별 한류 외신동향 보고서' 5종의 자세한 내용은 '문화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체부 채수희 해외홍보정책관은 "국가별, 대륙별 맞춤형 한류 정책 전략과 사업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 자료를 적기에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en1302@fnnews.com 장인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