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대통령실

국가안보실 재기능 본격화..AI안보협의회 출범

김윤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28 16:40

수정 2025.03.28 16:48

尹탄핵 후 부처에 간섭 않던 안보실
韓복귀에 "트럼프 대응" 외치며 전면에
AI안보협의회 신설하며 본격 행보 나서
국정원·행안부·국방부 등 7개 기관 참여
"AI 사이버안보 위협 선제적 대응 필요"
용산 대통령실 청사 모습. 사진=뉴스1
용산 대통령실 청사 모습.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국가안보실이 외교·안보현안 대응을 위한 중심 역할에 복귀키로 한 지 사흘 만인 28일 본격적으로 행보에 나섰다. AI(인공지능) 관련 안보 위협 대응을 위한 회의체를 신설하면서다.

왕윤종 안보실 3차장은 이날 국가정보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외교부·국방부·행정안전부·개인정보보호위원회·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등 7개 정부기관 국장급 인사들을 불러 모아 AI안보협의회를 출범시켰다.

안보실에 따르면 AI 안보는 국가기밀 유출이나 적대세력의 공격, 국방·외교·경제 중대이익 침해 등이 AI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을 예방·대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AI를 악용해 해킹메일을 유포하고, 원자력·생화학·폭발물 관련 민감정보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례들이 많아서다.



이 같은 AI 안보와 관련한 정책과 현안을 두고 안보실을 중심으로 유관기관이 대응책을 마련하는 게 AI안보협의회의 역할이다. 국정원이 간사기관을 맡고 별도 실무그룹을 꾸리며, 민간 전문가들과의 협의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첫 회의에선 먼저 AI 안보 위협 실태와 부처별 대응 현황을 살피고, 협력 과제들을 정리했다.

왕 차장은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는 생성형 AI 등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오는 반면 동시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며 “AI 기술 오용과 통제력 상실 등으로 인한 중대한 사이버 안보 위협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국가안보 차원에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안보실은 지난 2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신행정부 대응을 비롯한 현안들을 두고 “안보실을 중심으로 외교·안보부처 간 긴밀한 정보공유 및 협업 체계를 유지해나갈 것”이라며 재기능에 나선다고 밝힌 바 있다.

안보실은 윤석열 대통령 직무정지 이후 외교부·통일부·국방부를 비롯한 외교·안보부처에 대한 주도권이 일부 약화됐다. 정보공유는 유지하지만 정책결정에는 안보실이 관여하지 않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차원에서 미 측과 소통하는 등 별도의 행보를 보였다.

그러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지난 24일 직무복귀하며 트럼프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등 외교·안보현안 대응을 위한 범정부적인 협업을 지시한 데 따라 안보실이 다시 중심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