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기사는 언론사의 사정으로 삭제되었습니다.

IT 정보통신

'라인', 日 품으로…"韓은 운영도 개발도 못 한다" 지분도 정리 예고

김경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02 11:13

수정 2025.04.02 16:09

'네이버의 라인’은 사라졌다…기술도 인력도 일본 손에
네이버와 시스템·인증 전면 차단, "단기 지분 정리 어렵지만 지속 협의"
야후 재팬과 라인의 통합 전 로고. 뉴시스
야후 재팬과 라인의 통합 전 로고. 뉴시스

【도쿄=김경민 특파원】 네이버가 만든 메신저 플랫폼인 '라인'의 개발·운영 주도권이 일본에 완전히 넘어갔다. 일본 정부가 요구한 자본 관계 재검토는 당장은 현행 유지로 가닥이 잡혔으나 회사는 "지속적인 협의"를 예고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라인의 탈(脫) 한국화'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네이버의 라인'은 사라졌다, 기술도 인력도 일본 손에

2일 라인야후(LY·옛 라인)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말 일본 총무성에 제출한 15쪽 분량의 보고서를 통해 "네이버 및 네이버 클라우드와 시스템·인증 기반·네트워크 연계를 전면적으로 차단하고, 보안 운영 및 위탁처 관리 체계를 사실상 독립적으로 재편했다"고 밝혔다.

라인야후는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네이버 측과 대부분 분리 완료했다. 내년 3월까지는 국내·해외 자회사까지 포함한 전면적 분리 작업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라인야후는 보고서에서 "네이버와 국내외 자회사에 대한 인증 기반 및 시스템 연계를 2026년 3월까지 단계적으로 종료하겠다"면서 "해외 자회사에 대해서도 인증 기반을 중단하고 시스템 분리를 완료할 것"이라고 명시했다.

기술적·조직적으로 한국이 라인 운영에 개입할 여지는 사라졌고, 라인 플랫폼을 구축해온 한국 인력을 구조적으로 배제하겠다는 방침이 보다 분명해졌다는 평가다.

이번 라인 사태에 정통한 한 고위 관계자는 "(이 보고서는) 라인의 실질적 개발을 담당해온 대표적인 한국 자회사 '라인플러스'와 위탁 관계를 끊겠다는 선언으로 읽힌다"며 "최근까지 '분리는 없다'는 라인플러스 측의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이라고 해석했다.

라인플러스는 라인야후가 중간지주회사로 보유한 100% 자회사다. 라인플러스는 네이버와 지분 관계가 없기 때문에 라인야후와 분리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일본 국민 플랫폼으로 일본의 정보를 과독점한 라인에 대해 일본 정부가 한국의 영향력을 모두 끊어내려는 게 이 사태의 본질"이라며 "라인플러스는 한국에 소재한 회사이고 2000여명에 이르는 직원들도 거의 한국인이다. 이런 맥락에서 봐야한다"고 설명했다.

보안 관제 시스템도 일본 주도로 완전히 전환됐다. 라인야후는 보안관제센터(SOC) 운영을 네이버클라우드로부터 분리해 일본 기업과 24시간 체계를 구축했다. 인증 시스템과 데이터센터, 계정관리시스템(AD)까지 모두 일본 주도로 전환을 완료했다. 보고서에는 "불필요한 통신 차단", "완전 분리" 등의 표현이 수차례 반복돼 네이버와 기술적 단절을 명확히 드러냈다.

"네이버 지분 정리 단기엔 어렵지만 지속 협의"

가장 민감한 사안인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간 자본 관계 재검토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지배구조상 네이버는 여전히 라인야후의 공동 최대주주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각각 50%씩 지분을 가진 합작법인 A홀딩스가 라인야후의 64.5%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23년 말부터 네이버의 영향력이 배제된 지배 구조로 바꿔야 한다며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보고서에서 회사 측은 "양측이 1년에 걸쳐 협의했지만 단기적인 지분 이동은 어렵다는 입장을 공유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어진 문장에 "지금까지의 경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협의가 진전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는 표현을 덧붙여 중장기적 지분 조정 가능성도 열어뒀다.

일본 내 정보기술(IT) 관계자는 "라인이 보안 이슈를 빌미로 일본에 흡수되는 과정이 공식 문서를 통해 확인된 것"이라며 "네이버는 명목상 최대주주일뿐 실질 영향력이 소멸한 '유령 지배구조'로 전환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라인은 이번 보고서를 계기로 네이버를 지우고 일본 국적 플랫폼으로 완전히 정착하게 됐다"고 꼬집었다.
한편 라인 사태는 2023년 11월 라인 메신저에서 발생한 51만건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부터 촉발됐다. 이후 일본 총무성은 이듬해 3월 네이버와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행정지도를 발동했고, 4월에는 시스템·인증·운영 주체 전반에 대한 분리 계획 수립을 추가로 지시했다.

이에 대해 한국에서는 "네이버가 키운 플랫폼을 일본이 통째로 빼앗아갔다"는 반응과 함께 정부의 미온적인 대응을 성토하는 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