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美 6세대 전투기로 선정된 ‘F-47’… 첨단 유무인 복합 체계 진화[밀리터리 월드]

이종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30 18:38

수정 2025.03.30 20:44

트럼프 "가장 치명적인 전투기" 자신감
5세대보다 ‘첨단 스텔스 기능’ 향상
미 공군이 공개한 F-47의 이미지 렌더링. 미 공군 홈페이지 캡처
미 공군이 공개한 F-47의 이미지 렌더링. 미 공군 홈페이지 캡처
미국 공군이 개발 중인 '차세대 공중지배'(NGAD) 프로젝트인 6세대 전투기 개발 계획을 전격 공개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까지 만들어진 것 중 가장 발전되고, 가장 강력하고, 가장 치명적인 전투기가 될 것"이라며 강한 자신감을 피력했다.

30일 군과 방사청 등에 따르면 지난 21일 전격 공개된 미 공군의 6세대 전투기 F-47은 '첨단 스텔스 기능'에 더해 보다 '차원 높은 유무인 복합(MUM-T) 체계'로 진화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6세대 전투기의 가장 큰 특징은 애프터버너(후연소기)를 켜지 않고도 5세대 전투기보다 훨씬 빠른 효율적인 초음속 순항 또는 슈퍼크루징(super Cruising)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긴 항속 거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항공기 엔진의 강력함과 연료의 소모를 줄이는 효율성의 증대가 요구되는 것이 6세대 전투기이다.



특히 F-47의 이미지가 공개되면서 전문가들이 지적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수직미익은 사라졌지만, 카나드(canard, 비행기 동체 앞부분에 장착된 작은 날개)를 적용한 전익기 형상의 디자인이다.

수직미익은 항공기의 방향 안정성을 보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체의 높이보다 더 높이 수직으로 솟아져 있어 레이더 반사면적 (RCS, Radar Cross Section)이 증가하며 장파장 레이더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스텔스기로선 레이더 피탐 면적이 늘어난다는 약점 때문에 이를 제거한 형상을 적용한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이로 인해 기동성이 저하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추력 편향 엔진을 적용함으로써 기동성 문제 일부를 해결할 수 있지만 무게와 비용이 증가하고 항공기는 더 복잡해진다. 이 때문에 F-47 주요 설계로 카나드를 적용해 기동성 문제를 해결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미국 나사(NASA)의 연구 자료에 의하면 카나드를 적용한 설계도 스텔스 기능에서 불리하다는 분석이 있다. 따라서 보잉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을 개발·적용했는지도 주목받고 있다.

일각에선 미래 유무인 복합 체계에서 유인 전투기가 아닌 무인 전투기가 적과 조우해 먼저 스탠드오프(Standoff Weapon, 사람이 직접 적군의 반격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무기 체계) 전투를 펼칠 것이라는 현실도 고려한 것이란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우리 국방부도 이미 2035년 이후를 목표로 KF-21을 진화시켜 6세대 전투로 개발하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F-47의 등장은 대한민국의 KF-21 보라매의 6세대로의 진화와 가속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