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경북도와 안동시가 '경북 산불'로 대규모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을 위한 임시 주거시설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3월 31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5개 시군에서 주택 3617채가 불에 탔다. 이 중 3556채는 전소됐고 나머지는 일부 또는 절반 정도가 소실됐다.
도와 안동시는 이재민들이 불편한 대피소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31일 일직면에 긴급주거시설로 모듈러주택 40동을 우선 설치하고 있다.
도와 산불 피해 5개 시군은 이재민들이 생활 터전과 가까운 곳에서 생활하며 농사 등 생업을 할 수 있도록 거주지 인근에 마을 형태로 임시 주거시설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모듈러주택을 공급해 이재민들이 집을 지을 때까지 임시로 1년 동안 생활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1년 추가 거주도 가능하다.
이재민들을 대상으로 수요를 조사한 결과 현재까지 1688동의 모듈러주택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주택 구입에는 642억원 정도가 들 것으로 보고 국비 50%와 도비 및 시군비 50%로 부담할 계획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임시로 마련하는 연수원 등 시설은 체육관 등에 설치된 대피소를 떠나 단기간 생활하는 공간으로 이재민 주거시설 지원은 모듈러주택 공급 중심으로 할 방침"이라며 "이재민 중에는 자식 집이나 이웃에서 생활하기를 희망하는 분들도 많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는 산불 피해 주민들의 빠른 생활 안정을 돕기 위해 산불 피해 5개 시군 모든 주민 27만3000여명에게 1인당 30만원 재난지원금을 신속히 지급할 방침이다.
이러한 예산 등을 담은 '경북 산불' 피해 극복을 위한 '긴급 지원 특별 추가경정예산'은 이날 경북도의회를 통과했다.
안동시도 긴급 추경을 편성해 경북도 재난지원금과 별도로 실제로 주택 피해를 본 안동시에 주민등록을 둔 세대를 대상으로 300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또 안동시는 피해 주민의 빠른 일상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주거비, 생계비, 구호비 등 330억원 규모의 생활 안정지원금 지급도 서두른다.
당국은 장기간 대피소 생활에 힘겨워 하는 어르신 건강 관리를 위해 의사 47명과 약사 15명을 대피소별로 배치했고 경북의사회 소속 100명을 추가로 투입한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