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
함용일 자본시장·회계 부원장 발표
홈플러스 회계심사→ 감리로 전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 밝히는 데 집중”
함용일 자본시장·회계 부원장 발표
홈플러스 회계심사→ 감리로 전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 밝히는 데 집중”

[파이낸셜뉴스]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와 MBK파트너스(MBK) 신용등급 하락 인지 시점 등과 관련해 내놓은 말과 다른 사실 정황을 발견했다. 이와 함께 홈플러스 회계처리 기준 위반 가능성도 적발되면서 회계심사를 회계감리로 전환해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를 밝히는 데 집중하는 모습이다.
■신용등급 강등, 미리 알았을 가능성 높아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회계 부문 부원장이 1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열린 ‘자본시장 현안 관련 브리핑’에서 “신용평가 등급 하향 가능성 인지, 기업회생 신청 경위 등에서 MBK와 홈플러스 해명과 다른 정황이 발견됐다”며 “회계심사 관련해서도 회계처리 기준 위반 가능성이 보여 이주부터 감리로 전환해 보다 세밀하게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이복현 금감원장도 지난달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빠른 시일 내 ABSTB를 변제할 유동성이 있었으면 회생신청 자체를 안 했을 것”이라며 “재원을 무엇으로 할지 등을 약속 못 하면 여러가지를 숨기는 셈”이라고 꼬집은 바 있다.
금감원은 이 같은 검사·조사·감리를 통해 홈플러스의 사기적 부정거래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홈플러스와 MBK 측은 단기신용등급이 강등된 지난 2월 28일에서야 그 사실을 인지했다고 발표했으나, 함 부원장은 “언제 인지했다고 확정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해당 날짜(는 아니고) 그 이전에 알았을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고 짚었다. 다만 함 부원장은 “고발 등을 검토하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그는 회계감리 전환 관련해서는 “회계처리 기준 위반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금감원은 이외 신영증권과 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 등 2개 신용평가사에 대한 검사는 앞서 지난달 13일 들어갔다.
함 부원장은 금감원 차원의 조사 등과 별개로 홈플러스와 MBK를 향해 공약을 지키라고도 압박했다.
그는 “홈플러스는 상거래채무를 순차 지급 중이라고 밝혔으나 변제 시기 및 순위 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협력업체, 입점 업체들 불안감이 지속 중”이라며 “이해관계자들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단 모호한 표현으로 일관하고 있는데, 지금이라도 약속한 전액 변제, (MBK 김병주 회장의) 사재 출연 등에 대한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화에어로, 불충분하면 재정정 요구”
함 부원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3조6000억원 규모 유상증자와 관련해선 “다양한 자금 조달 수단 중 유상증자를 선택한 이유, 증자 시점 및 자금 사용 목적 등을 충분히 검토했는지 여부, 증자 전후 한화그룹 계열사 지분 구조를 재편한 배경과 증자와의 연관성 및 회사에 미치는 영향 등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달 27일 금감원이 한 차례 증권신고서 정정요구를 한 이후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준비하고 있는 2번째 증권신고서에 대한 것으로, 이번 유상증자가 김승연 회장이 한화 지분 절반을 세 아들에게 증여한 일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까지 들여다보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한화는 지난달 31일 김 회장이 보유한 지분 22.65% 중 11.32%를 김동관 부회장·김동원 사장·김동선 부사장 3인에게 나눠 증여한다고 공시했다. 함 부원장은 “나중에 (정정된 신고서를) 보면 금감원이 어떤 부분이 불충분해 정정 요구를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며 “혹여 다시금 불충분하거나 불성실한 내용으로 제출을 하게 되면 재정정 요구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