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철강, 상호관세 피했다…美 관세 영향 결론은?[트럼프 관세]

뉴시스

입력 2025.04.03 10:01

수정 2025.04.03 10:04

지난달 25% 관세 부과서 변화 없어 "품목별 수출 전략 세워 수익성 방어"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2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 개별 품목관세에 이어 2일 오후(현지시간·한국시간 3일 오전)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즉각 시행에 들어간다. 2025.04.02. jtk@newsis.com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2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자동차 등 개별 품목관세에 이어 2일 오후(현지시간·한국시간 3일 오전)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즉각 시행에 들어간다. 2025.04.02. jtk@newsis.com

[서울=뉴시스] 신항섭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에서 철강이 빠지며 철강업계는 그나마 다행이라는 분위기다. 하지만 철강 부문에는 이미 25% 개별 관세가 부과돼, 고부가가치 위주의 수출로 수익성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25% 관세가 이미 발효된 철강·알루미늄과 3일 0시1분 발효되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은 이번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했다.

그동안 철강업계는 미국이 한국에 개별 관세 외에 또 한번 상호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느냐는 예상을 했다.

만약 기존에 발효된 25% 관세 외에 상호 관세로 최대 20%가 추가되면 한국 철강 업체들은 기존 대비 45% 비싼 가격에 철강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해야 했다.

이 같은 45% 수준의 관세는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 한국 철강사들의 수익성 악화도 우려됐다.

하지만 철강업계는 이번에 상호 관세를 피하게 돼 안도하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 주요 철강 수출국인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일본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를 맞게 됐다.

이에 철강 업계는 지난달 12일 결정된 '철강 25% 관세'로 트럼프 관세가 일단락될 것이라고 판단, 이에 따른 대응 전략 마련에 주력할 방침이다.

앞서 한국 철강업체들은 관세 부과 후 미국 상황에 따라 품목별 수출 전략을 다각화하는 전략을 세웠다. 원가를 더 절감한다는 방침도 내놓았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최악은 피했다"며 "결국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 수출 물량을 채워 수익성을 방어하는 것 외에는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관세 영향에 대해 "데이터가 좀 더 쌓여야 분석이 가능하다"며 "현재로선 관세 전에 수출한 물량도 남아 있고, 기저효과도 있어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철강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미국 내 철강 가격은 품목별로 상황이 제각각이다"며 "제품별로 수출 전략을 세분화하고 대응하려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angseob@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