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은행 주택담보대출이 역대 최대 규모로 급증하면서 시장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10월에서 11월로 밀리는 분위기가 감지됐다.
한국은행은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한풀 꺾일 걸로 보고 있지만, 10월은 집값·가계부채 우려가 완전히 잡혔다고 확신하기엔 다소 이르다는 평에 무게가 실린다.
13일 <뉴스1>이 채권 전문가 9인에게 설문한 결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다음 달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25%로 0.25%포인트(p) 인하한다고 예상한 이들은 2명에 그쳤다.
나머지 7명 가운데 6명은 10월 기준금리 동결을 전망했다. 1명은 추후 가계대출 추이 등 추가 지표 확인이 필요해 판단을 보류했다.
10월 동결을 응답한 6명 중 4명은 지난달에는 '10월 인하'를 바라본 이들이었다.
대다수는 인하 기대를 지연한 이유로 금통위의 금융 안정 우려가 당초 기대보다 강하게 표출됐다는 점을 꼽았다. 지난달 이창용 한은 총재가 통화정책방향 설명회에서 보인 금리 인하 신중론과, 금통위 의사록에 드러난 금융 불안 경계심을 읽은 뒤 견해를 수정한 것이다.
김상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8월 금통위가 만장일치 동결을 결정했는데 그 이후 발표된 8월 가계대출 증가 폭이 8조 원을 넘었다"며 "금통위 입장에서는 금융 안정 측면에서 데이터를 확인하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우혜영 LS증권 연구원은 "10월 금통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8월의 가계대출 급증세여서 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에 따른 긍정적 움직임이 가시적으로 부재한 상황"이라며 "8월 금통위 때와 데이터상 달라진 부분이 없어 10월 인하는 쉽잖다"고 평가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8월 은행 주택담보대출은 전월보다 8조 2000억 원 증가하면서 2004년 통계 편제 이후 역대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만만찮았던 지난 7월(+5.6조 원)보다 2조 6000억 원 더 늘었다.
이는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9월 적용되기 이전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7~8월 몰린 결과였다.
대출 규제 강화에 앞서 집을 사려는, 이른바 '영끌 막차' 수요에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밀린 셈이다.
이에 기준금리 인하가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분석도 일각에서 제기됐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주택담보대출은 통상 주택 매매 계약 이후 2개월 시차를 두고 실행돼 이미 8월 계약서를 쓴 주택 거래는 정부 규제에도 10월 대출로 이어질 것"이라면서 "대출 억제 정책에도 당장 9월부터 한은이 원하는 수준으로 대출이 둔화하긴 어려워 보여 빨라야 11월 인하가 가능하다"고 관측했다.
임 연구원은 "물가 상승률이 2%로 낮아지고 민간 소비가 둔화했으나, 한은은 소비 둔화에 구조적 문제의 영향도 있음을 언급했다"고 덧붙였다.
물론 대다수는 예외 없는 11월 인하를 전망했다. 금리 인하가 내년 이후로 지연될 때의 내수 충격을 의식해서라도 금통위는 11월 인하를 택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은은 내수를 근거로 금리 인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며 "주택 계약부터 대출까지 2개월 시차를 고려하면 9월 규제 시행으로 11월에는 원하는 데이터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규제를 이렇게 조였으면 가계대출은 떨어지는 게 맞다"며 "11월 인하는 무난하게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대출 억제 정책이 상당 부분 강하게 나온 터라 9~10월 가계대출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높이는 정도로 늘진 못할 것이고, 이에 금통위는 무리 없이 연내 인하에 나설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10월 인하를 내다본 이들은 내수 침체를 주된 이유로 꼽았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당국이 규제 의지를 보이고 있어 내수 부진이나 미 정책금리 인하로 인해 10월 인하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정부가 강하게 요구한 금리 인하를 이미 2번 정도 거른 가운데 한은은 굳이 인하를 더 미룰 필요가 없다"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