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권성동 "野 주52시간 뺀 반도체법 패스트트랙은 트릭…원안 처리 촉구"

김준혁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2.27 13:55

수정 2025.02.27 13:55

"최장 330일 소요될수도"
권성동(오른쪽)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권성동(오른쪽)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 등의 쟁점을 제외한 반도체특별법을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을 유력 검토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해 "오히려 '슬로우트랙'이자 국민을 속이는 '민주당트릭'"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을 포함한 반도체특별법 원안 처리를 촉구했다.

권 원내대표는 27일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를 열고 "민주당은 제발 눈을 뜨고, 귀를 열고 미국·일본·대만·중국이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라"며 이처럼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반도체특별법이 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되면 소관 상임위에서 180일, 법사위에서 90일, 본회의 부의 후 60일 등 본회의 표결까지 최장 330일이 소요된다"며 "하루 24시간 365일 초경쟁 체제에 돌입한 반도체 시장의 현실을 고려할 때 330일은 운명을 바꿀 만큼 너무 늦은 시간"이라고 주장했다.

권 원내대표는 "SK하이닉스가 경기 용인 반도체 공장 건설의 첫 삽을 뜨는 데 6년이 걸렸는데, 일본은 대만의 반도체 기업 TSMC의 구마모토 공장을 완공을 20개월 만에 이뤄냈다"며 "국회가 일하지 않는 동안 일하고 싶은 국내 기업들의 발목을 잡은 셈"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이 주 52시간 예외 조항을 제외한 반도체특별법을 패스트트랙에 태우기로 한 방침에 대해선 "앞으로는 반도체특별법이 필요하다고 외치면서 중도층을 공략하고, 실제로는 1년 가까이 묶어두면서 주 52시간 예외는 안 된다는 민주노총의 지령을 따르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권 원내대표는 "주 52시간 예외 조항은 반도체특별법이 특별법다울 수 있는 필수 조건이다. 이를 뺀 반도체특별법은 짠맛 없는 소금이고 단맛 없는 설탕"이라며 "지금이라도 국민께 약속드린 반도체특별법 2월 처리를 지킬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당부했다.

jhyuk@fnnews.com 김준혁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