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김경수 “용산, 단 하루도 써선 안돼…차기 대통령 청와대·세종서 집무 시작해야”

성석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14 11:18

수정 2025.04.14 11:18

대통령실 청와대 복귀 및 세종 공동 집무 제안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지난 13일 세종시청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선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지난 13일 세종시청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선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4일 대선 출마 캠프 사무실을 열고 ‘용산 대통령실 사용 불가’ 명문화를 여야에 제안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홍빌딩에 마련된 캠프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의 본산인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써선 안 된다”며 “청와대와 세종 두 곳에 집무실을 설치해 차기 대통령이 임기 초부터 분산 집무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대통령실이 있는 용산은 내란의 상징이자 안보상으로도 취약한 공간”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김 전 지사는 “합참과 국방부, 대통령실이 한 공간에 밀집해 있어 군사적 공격에 취약하고 도감청 위험도 상존한다”며 “기존 청와대 대비 보안시설과 방공망도 열악하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주한미군 기지 인근으로 추가 방공시설 설치가 필요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면서 “용산에 집무실을 유지할 이유는 없다”고 단언했다.



대안으로는 청와대와 세종 집무실을 동시에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김 전 지사는 “서울은 여민관을 포함한 기존 청와대가 즉시 활용 가능하고, 총리공관이나 안가를 관저로 활용할 수 있다”며 “세종 집무실은 현재 임시 시설을 확대하거나 총리 집무공간을 활용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법적·예산적 근거와 관련해서 김 전 지사는 “올해 대통령실 예산이 이미 편성돼 있고, 필요시 국회에서 이전 예산을 위한 법 개정도 가능하다”며 “4월 말이나 5월 초에 각 당 후보가 결정되면 그 전에 국회의장 주도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전 지사는 “용산으로의 이전도 불과 50일 만에 이뤄졌다”며 “청와대로의 복귀는 더 빠르고 효율적”이라고 덧붙였다. 광화문 청사 역시 논의 대상으로 언급하며 “문재인 정부 당시 보안상의 이유로 철회됐지만 용산보다는 백배 낫다”고 말했다.

한편, 김 전 지사는 이날 국립현충원에서 김대중 대통령 묘소를 참배했다. 김 전 지사는 “민주주의의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이번 조기대선을 통해 더 단단한 나라를 만들겠다”고 했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