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尹선고 D-1, 장외 투쟁 최고조…정치권 '승복 논란' 갈등 키웠다

뉴스1

입력 2025.04.03 11:48

수정 2025.04.03 14:24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헌재)의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앞두고 4월 첫 번째 날을 맞은 1일 서울 종로구 헌재 앞에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관계자들 탄핵 찬반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2025.4.1/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헌재)의 탄핵 심판 선고기일을 앞두고 4월 첫 번째 날을 맞은 1일 서울 종로구 헌재 앞에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관계자들 탄핵 찬반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2025.4.1/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국민의힘 탄핵반대당협위원장모임(탄반모) 소속 당협위원장들과 당원들이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기각을 위한 마지막 총집결 집회를 하고 있다. 2025.4.2/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국민의힘 탄핵반대당협위원장모임(탄반모) 소속 당협위원장들과 당원들이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계단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기각을 위한 마지막 총집결 집회를 하고 있다. 2025.4.2/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참석 의원들이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 민주당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4.2/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참석 의원들이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앞 민주당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4.2/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22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 사거리 및 세종대로일대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집회(왼쪽)와 광화문 앞에서 열린 탄핵찬성집회(오른쪽)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3.22/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22일 오후 서울 세종대로 사거리 및 세종대로일대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집회(왼쪽)와 광화문 앞에서 열린 탄핵찬성집회(오른쪽)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3.22/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서울=뉴스1) 박재하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치권이 막판 여론전에 뛰어들었다.

역대 탄핵심판보다 사회 분열이 극에 달한 만큼 폭력과 과격 시위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여야 모두 '승복'보다는 '불복'을 부추기며 갈등을 키우는 모습이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는 4일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두고 마지막까지 장외 투쟁에 나섰다.

與 "탄핵 기각이 우리 당론"

국민의힘은 친윤(윤석열)계 주도로 의원 60여 명이 2일부터 헌법재판소 인근 안국역 앞에서 24시간 탄핵 반대 릴레이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전날에는 국민의힘 당협위원장 80여 명으로 구성된 '탄핵을 반대하는 국민의힘 당협위원장 모임'이 국회 본관 계단에서 탄핵 기각·각하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

이 집회에는 김기현·나경원·박대출 국민의힘 의원도 참석해 힘을 실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에 가세하며 탄핵 반대 여론을 부추겼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의원총회에서 "대통령이 조속히 직무에 복귀해서 국정을 재정비하고 민생을 돌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에 승복 메시지를 내라고 건의할 것인지에 대해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그것에 대해 미리 내라 내지 말라고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탄핵 기각이 우리 당의 당론이다"고 말했다.

野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더불어민주당도 윤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며 4일까지 광화문 천막당사와 철야농성, 탄핵 찬성 집회 참석 등 총동원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헌재 결정에 승복하겠다는 공식 메시지도 따로 나오지 않았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전날 헌재 결정에 대한 승복 여부를 묻는 말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고 각을 세웠다. 지난달 31일에는 "(기각 시) 엄청난 혼란과 유혈사태를 감당할 수 있을지 상상해 보라"고도 말한 바 있다.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SBS 라디오에 출연해 탄핵 심판 결과에 승복하라는 여당의 압박을 학교 폭력에 빗대어 "가해자가 피해자를 정말 힘들게 했는데 피해자한테 앞으로 그냥 잘 지내야지 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4선 중진 박홍근 의원은 지난 1일 페이스북에 "윤석열 탄핵이 기각되면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과 시민사회단체가 공식 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논란이 커지자 박 의원은 이후 자신의 글 게재 시점이 헌재의 선고기일 지정 전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도 "정작 승복 선언은 계엄을 비롯한 국정의 공동 책임인 국민의힘이 내란수괴 윤석열에게 공개 요구해 받아내야 할 일"이라고 책임을 돌렸다.

탄핵의 당사자인 윤 대통령은 아직 승복 메시지를 내지 않았다. 지난 2월 대통령 변호인단인 석동현 변호사가 "헌재 결과에 대통령이 당연히 승복할 것"이라고 말한 것이 전부다.

"여야, 국민통합에 앞장서 달라"

이처럼 여야 모두 갈등을 해소하기보다는 부추기는 데 앞장서면서 승복과 통합에 대한 메시지를 내야 할 때라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일 치안관계장관회의에서 "지금은 정치적 유불리를 떠나 공동체의 안정과 생존을 우선해야 할 때"라며 "분열과 갈등보다는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대철 대한민국 헌정회장도 윤 대통령과 이 대표를 향해 승복 선언을 발표하라며 "여야 정치권은 이제 광장에서 국회로, 국민은 생업 현장으로 돌아가 그동안의 대립·갈등·분열을 씻어내고 국민 대통합에 앞장서기를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원로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헌재의 선고 이후) 제일 중요한 것은 '이렇게 분열돼 있는 나라를 어떡하면 통합을 할 수 있겠냐'다"며 "공정과 상식의 회복도 중요하지만 뭐니 뭐니 해도 통합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