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지난 3월 기준 국내 은행의 연체율이 전달보다 소폭 줄었다. 대출 수요가 줄어든데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에 대한 착시효과도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국은 향후 잠재 부실이 드러날 것을 우려해 대손충당금 적립 기준을 바꾸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3월 연체율도 0.03%p 추가 하락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월말 국내 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0.22%로 전월 말 대비 0.03%포인트 떨어졌다. 전년동월과 비교해선 0.06%포인트 하락했다.
정부가 가계대출 규제를 강화한데다 소상공인 금융지원을 잇따라 연장하면서 대출 수요는 줄고 연체율은 하락하고 있다.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2018년 5월(0.62%) 이후 하락세를 지속해 여전히 사상 최저 수준이다. 당국은 대출 만기연장과 이자 상환유예 등으로 부실 우려가 잠재돼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당국 “금융회사 1차적 리스크 관리노력해야”
이 때문에 당국은 금융권의 손실흡수능력을 높일 것을 주문하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 1·4분기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총 3096억원으로 전분기(6390억원)보다 51.5% 줄었다.
현재 금감원은 대손충당금 산정 과정에서 미래 전망에 대한 정보를 반영토록 개선하기 위해 은행권과 테스크포스(TF)를 구성해 논의중이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지난 18일 금융리스크 점검회의에서 “금융회사들도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갖추고 스스로 리스크 관리노력을 할 책임이 있다”며 “코로나 위기 초기에 나타났던 일부 금융회사의 유동성 위기가 금융시장 불안으로 전이됐던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금융회사의 1차적인 리스크 관리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ksh@fnnews.com 김성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