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관측·경보체계 고도화 추진
클라우드·ICT 활용하자는 의견도
클라우드·ICT 활용하자는 의견도

"재난 대응 매뉴얼을 표준화해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전국 재난 대응 시스템의 일원화가 필요하다."
파이낸셜뉴스와 행정안전부 공동 주최로 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7회 재난안전 지진포럼에서 표준화된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과 함께 지방자치단체 및 관계기관 간 긴밀한 공조체제 중요성이 제기됐다. 이번 포럼은 '국가 재난의 선제적 방재와 공조'를 주제로 열렸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격려사에서 "2021년에 서울시는 2030년까지 공공시설물의 내진율을 100%로 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뒤 82%였던 내진율이 현재 95.4%로 대폭 향상됐다"며 "구조, 화재, 의료와 같은 재난 상황별 대응책도 마련해서 신속한 재해구호와 복구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인구 1000만의 대도시인 서울의 재난 유형과 방재 대책에 대한 대화도 오갔다. 김기현 서울시 안전총괄관은 "서울에서 홍수 같은 풍수해의 위험성이 높아, 터널이나 교량같이 노후화된 인프라의 안전관리에 대해 도쿄도를 참고하려고 한다"며 "특히 서울에는 고층아파트가 많아 자체 대피 방식에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별취재팀ktitk@fnnews.com 김태경 장충식 이설영 노진균 윤홍집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