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미, 50여 중국 기업 블랙리스트 올려…대중 반도체 수출 추가 통제

송경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27 02:51

수정 2025.03.27 06:17

[파이낸셜뉴스]
미국 상무부가 26일(현지시간) 중국 기업 50여곳을 포함해 모두 80개 기관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며 대중 반도체 수출 길을 막았다. 그 충격에 엔비디아가 5.7% 급락하는 등 반도체 종목들이 추락했다. 로이터 연합
미국 상무부가 26일(현지시간) 중국 기업 50여곳을 포함해 모두 80개 기관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하며 대중 반도체 수출 길을 막았다. 그 충격에 엔비디아가 5.7% 급락하는 등 반도체 종목들이 추락했다. 로이터 연합

미국이 26일(현지시간) 중국 기업 50여 곳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

이들 기업이 엔비디아, AMD 등의 첨단 반도체를 확보할 수 없도록 했다.

대중 수출 추가 규제 대신 미 반도체를 수입하는 나라들이 중국에 우회수출할 수 없도록 규제할 것이라던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탔던 반도체 종목들은 급락했다.

엔비디아는 5.7% 급락했다.

중국 AI 굴기 추가 압박

미국은 이날 중국의 AI 굴기를 압박하기 위한 추가 조처를 단행했다.



미 상무부 산업안전국(BIS)은 80개 기관을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

이 가운데 50여 곳이 중국 기관이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기관에 대해 미 기업들은 정부 허가 없이는 반도체를 공급할 수 없다.

BIS는 이들 블랙리스트에 오른 기업은 미 국가 안보와 외교정책 이해에 반하는 행동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컴퓨팅 연산 능력 확대를 추가로 억제하기 위한 조처에 나섰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수십개 중국 기관이 첨단 AI, 슈퍼컴퓨터, 고성능 AI 반도체 개발과 연결돼 있다면서 이들은 이를 군사적 목적에 활용하려 해 블랙리스트에 올랐다고 말했다.

또 블랙리스트에 오른 곳 가운데 두 곳은 화웨이, 산하 반도체 업체 하이실리콘 같은 블랙리스트 기업에 반도체를 공급했다고 상무부는 덧붙였다.

27개 중국 업체는 중국의 군 현대화 지원을 위해 미국산, 또는 미 기술을 활용한 반도체를 확보했고, 7개 업체는 중국의 양자기술 발전을 위해 반도체를 조달한 혐의로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또 2023년 조 바이든 행정부 당시 블랙리스트에 오른 클라우드 업체 인스푸르 그룹 산하의 6개 자회사도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엔비디아·AMD 우회 수출 길 차단

싱가포르국립대 선임 강사 알렉스 카프리는 CNBC에 이번 블랙리스트 추가로 인해 중국이 제3국을 통해 반도체를 우회 수입하는 길이 막혔다고 말했다.

카프리는 중국 업체들이 제3자를 통해 민간용, 군사용 모두에 활용 가능한 미국의 전략적 기술에 접근이 가능했다면서 이런 맹점들을 활용해 규제에도 불구하고 미 반도체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 당국이 계속해서 엔비디아, AMD의 첨단 반도체 밀수를 막기 위한 추적과 감시를 강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도체 급락

반도체 종목들은 급락했다.

AI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는 이날 오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충격으로 시장 심리가 악화한 영향까지 더해 5.7% 급락했다. 엔비디아는 전장 대비 6.93달러(5.74%) 급락한 113.76달러로 추락했다.

AMD는 4.62달러(4.02%) 급락한 110.19달러, 반도체 설계 원천기술 업체 암(ARM) 홀딩스는 9.35달러(7.52%) 폭락한 114.93달러로 미끄러졌다.

브로드컴은 8.99달러(4.78%) 급락한 179.27달러로 주저앉았다.

AI용 메모리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은 2.05달러(2.18%) 하락한 92.13달러로 떨어졌고, 인텔은 0.78달러(3.22%) 급락한 23.42달러로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SOX)는 152.59 p(3.27%) 급락한 4508.74로 추락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