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과대 검색결과 총 219

  • 질소 첨가한 촉매판이 이산화탄소를 먹었다
    질소 첨가한 촉매판이 이산화탄소를 먹었다

    [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POSTECH) 화학공학과 김진곤 교수팀은 서울대 한정우 교수팀과 협력해 이산화탄소를 산업에 유용한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촉매는 질소가 첨가된 그래핀에

    2025-03-21 14:17:19
  • 고분자 액체를 말려 차세대 고품질 디스플레이 만든다
    고분자 액체를 말려 차세대 고품질 디스플레이 만든다

    [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POSTECH) 신소재공학과 정성준·김성주 박사팀은 삼성디스플레이 강동진 박사와 공동 연구를 통해 액체 상태의 고분자를 건조시켜 얇은 막으로 차세대 고품질 디스플레이를 생산할 수 있는

    2025-02-10 14:19:14
  • 전자렌지 원리로 청정수소를 만들었다
    전자렌지 원리로 청정수소를 만들었다

    [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POSTECH) 물리학과·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 기계공학과 진현규 교수 연구팀은 전자렌지 원리로 청정수소를 단 몇분 만에 만들었다고 15일 밝혔다. 이 기술은 고온에 의존했던

    2025-01-15 13:37:29
  • 그래핀으로 더 작고 빠른 칩을 만들수 있을까
    그래핀으로 더 작고 빠른 칩을 만들수 있을까

    [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POSTECH) 물리학과 이길호 교수와 정현우 통합과정생은 일본 국립재료과학연구소(NIMS) 와타나베 켄지, 타니구치 타카시 박사팀과 함께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이중층 그래핀'의 특별한 성질을

    2025-01-07 10:56:56
  • 홍합 접착단백질로 폐암약을 감싸 암세포로 전달했다
    홍합 접착단백질로 폐암약을 감싸 암세포로 전달했다

    [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POSTECH)는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와 화학공학과 정연수 박사팀이 경북대 첨단기술융합대학 의생명융합공학과 조윤기 교수팀과 함께 홍합에서 유래한 접착단백질로 폐암 치료용

    2025-01-02 17:16:17
  • 젤리형 뼈 이식재로 대퇴골을 재생시켰다
    젤리형 뼈 이식재로 대퇴골을 재생시켰다

    [파이낸셜뉴스] 포항공과대(POSTECH)에서 뼈가 부러지거나 손상됐을때 치료할 수 있는 특별한 젤을 개발했다. 이 젤은 바다에서 얻은 특별한 성분과 빛에 반응하는 물질로 만들어 빛을 쬐면 단단해지면서 마치 뼈가 스스로 자

    2024-12-13 11:07:19
  • 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신임 원장에 이식 책임연구원
    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신임 원장에 이식 책임연구원

    [파이낸셜뉴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신임 원장에 이식 KISTI 책임연구원이 선임됐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26일 제219회 임시이사회를 열고 새 KISTI 원장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식 신임 원

    2024-11-26 15:35:09
  •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에 정우성 포항공과대 교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에 정우성 포항공과대 교수

    [파이낸셜뉴스] 정우성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사진)가 제29대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에 임명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정우성 창의재단 신임 이사장을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정우성 신임 이사장의 임기는 이날부터 2027

    2024-11-05 10:33:55
  • LG CNS 주최한 '최적화 그랜드 챌린지 2024'서 서울대 대상
    LG CNS 주최한 '최적화 그랜드 챌린지 2024'서 서울대 대상

    [파이낸셜뉴스] LG CNS는 국내 최초의 수학적 최적화 경연대회 '최적화 그랜드 챌린지 2024'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시상식을 열었다고 27일 밝혔다. LG CNS가 대한산업공학회와 함께 올해 처음으로 개최한 이번 대회에

    2024-10-27 14:29:46
  • 국제 바이오 R&D 프로젝트에 우리도 동참

    #OBJECT0# [파이낸셜뉴스] 우리나라가 첨단 바이오 기술로 글로벌 난제 해결을 위한 국제 연구개발(R&D) 프로젝트에 세계 과학선진국 5개국과 함께 한다. 이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연구팀에 5년간 총 250억

    2024-10-02 15:29:27
PrevNext
April 2025
SuMoTuWeThFrSa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