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최근 해외에서 오미크론 재조합 변이 'XE'가 보고되고 있다. '스텔스 오미크론'이라는 별칭을 가진 BA.2보다도 전파력이 10% 정도 빠르다고 알려졌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가고 있는 과정에서 또 다른 장애물이 될지 관심이 모인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발표한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XE 변이는 지난 1월 19일 영국에서 처음 발견됐다. XE는 이스라엘과 대만에까지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XE 변이는 기존 오미크론 변이(BA.1)과 BA.2가 합쳐진 형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BA.2는 오미크론 변이의 하위 계통으로 일부 국가에서는 검사 과정에서 확인이 되지 않을 정도로 전파력이 높아 '스텔스 오미크론'으로도 불렸다. BA.1보다 전파력이 30%가량 높다.
중앙방역대책본부 관계자는 3일 기자단에 보낸 참고자료를 통해 "영국 초기 분석 자료에 따르면 XE는 BA.2에 비해 약 10%까지 빠른 증가속도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다른 국가에서는 '델타크론'(델타와 오미크론의 유전자가 합쳐진 재조합 변이)의 일종인 XD, XF도 발견되고 있는 상황이다.
방대본은 "XD, XE, XF의 현재 국내 발생은 확인된 바 없으나 국내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해외 현황 및 국내 유입, 발생 여부를 지속 모니터링 중"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4일부터 기존 8명·11시 제한이던 거리두기를 10명·밤 12시 제한으로 한단계 완화했다. 완전 해제의 목소리도 적진 않았지만 여전히 높은 위중증·사망 수준과 BA.2 변이 등 새로운 변이 유행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것이다.
2년여 간의 코로나19 유행 과정을 되짚어보면 5~6개월마다 새로운 변이가 유행을 주도해왔다. XE변이도 기존 오미크론 변이보다 전파력이 높아 기존 유행 변이를 대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새 변이 등장 과정에서는 재감염 사례도 적지 않게 발생한다. 지난달 27일 기준 국내 코로나19 재감염 사례는 346건이 발생했다. 델타 변이 유행 이전에는 2명에 그쳤지만, 델타 변이 유행 당시 159명, 오미크론 유행에서는 185명의 재감염 사례가 등장했다.
재감염은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숙주 세포에 결합하는 단백질)에 저항력을 가졌어도, 새로운 스파이크 단백질로 무장한 변이 바이러스에 면역이 뚫리면서 발생한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바이러스는 변이를 통해 살아남으려는 본능이 강하다"며 "오미크론이 11~12월 유행을 시작했으면, 5~6월 이전에 새로운 변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스파이크 단백에 변이가 또 생기면 오미크론에 걸렸던 사람들도 재감염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XE변이 자체가 오미크론 변이의 결합 형태라고 분석되는 만큼 아직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는 평가도 나온다.
또 새 변이가 등장하더라도 우세종으로 자리잡는 시간을 고려하면 당장 새 변이가 닥칠 것이라는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이전 변이보다 전파력이 높다던 오미크론 변이도 12월 초 국내 유입 후 1월 말이 되어서야 국내 유행의 우세종이 됐다.
백순영 가톨릭대의대 명예교수(미생물학)는 "XE변이가 BA.2와 BA.1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결합된 것이라면 큰 힘을 쓰지 못할 수 있다"며 "누적 확진자가 1400만명에 가까워지는 상황이라 당장 2주 후라고 해서 큰 위험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