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윤효정 기자 = "경찰이랑 붙은 건 내가 아니라 형 아니야?" 자신을 내치는 기철(위하준 분) 앞에서 섭섭함과 울분을 토해내는 정배. 핏발 선 눈빛과 날 선 말들을 주고 받는 두 사람은 강남연합의 사무실을 숨 막히는 긴장감으로 꽉 채웠다.
그날의 온도와 분위기는 지금도 임성재의 기억에 선명하게 남아있다. 함께 하던 배우들, 온 스태프가 한 몸이 된 것처럼 함께 긴장하고 함께 쏟아 냈다. 서로가 원하던 감정에 도달해 좋은 결과물을 만들었을 때의 짜릿함, 임성재는 "그래 이게 연기였지, 다시 한 번 확신을 갖게 됐다"고 돌아봤다.
지난 달 디즈니+(플러스)에서 공개된 드라마 '최악의 악'(연출 한동욱)은 1990년대 서울을 배경으로, 크리스탈이라 불리는 신종 마약 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거대 조직인 강남연합을 다룬 드라마. 임성재는 보스 기철의 오른팔 정배로 분했다.
영화 '헌트' 드라마 '무빙' 'D.P.' 그리고 '최악의 악'까지 쉼 없이 달려온 임성재를 만났다. 강렬한 캐릭터의 연속이 부담스럽지 않냐는 질문에 임성재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털보 사장의 푸근한 미소와 함께 "제 귀여움을 알기 때문에 전혀 걱정 없어요"라고 말했다. 귀여운 임성재와 나눈 이야기다.
-본편이 모두 공개됐다. 결말은 어떻게 봤나. 배우들이 자주 모여서 본방사수를 한다고.
▶나는 엔딩을 몰랐고 어떻게 끝맺음이 되는지 물어보지도 않았다. 감독님이 기대하라고 하시더라. 다같이 모여서 봤다. 나는 원래 내가 연기하는 것을 잘 안 본다. 그런데 배우들이 매주 모이다 보니 보게 되더라. 우리집에서 자주 모인다. 주택이어서 다들 편한지 꼭 우리집에서 모이게 되더라. (웃음)
-'최악의 악'에는 어떻게 합류했나. 비비(김형서)의 팬이어서 출연을 결정했다는 한동욱 감독의 말도 있었는데.
▶그건 정말 감독님의 농담이다. 어떻게 비비씨 때문에 출연을 결정하겠나. 비비씨와는 만나는 신도 거의 없다. (웃음) 사실은 당시에 출연을 거의 결정한 다른 작품이 있었다. 그래서 감독님을 만나서 내 상황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려고 했다. 그런데 감독님이 작품에 대한 열망이 어마어마하더라. 고민이 시작됐다. 배우들은 연출자의 그런 열정적인 모습에 반할 수 밖에 없지 않나. 작품 이야기를 하는데 첫만남에 너무 신나서 6시간을 이야기를 했던 기억이 난다.
-작품, 정배 캐릭터의 어떤 점이 매력적이었나.
▶그때는 지금의 정배가 뚜렷하게 보이는 건 아니었다. 감독님과 이야기를 하면서 지금의 캐릭터를 만든 것 같다. 같은 신이어도 배우들이 스쳐 지나가는 게 아니라 뭔가 숨은 의도가 있는 것처럼 연기하고 연출자가 그걸 잘 담아줬다. 그렇게 만든 드라마다. 정배의 경우는 '어떻게 의심할 것인가'를 잘 보여주려고 했다.
-정배로서 '어떻게 의심할 것인가'는 어떻게 표현했나.
▶근거 있게 의심하는 신을 잘 보여주려고 했다. 7부에 등장하는 조직에서 쫓겨나는 신은 감독님, (위)하준이와 정말 이야기를 많이 했던 기억이 난다. 보는 분들이 감정적으로 뭔가를 느껴야 하는 장면인 거다. 보시면 마치 원테이크 신처럼 보일 수 있지만 하준이와 어떻게 연기할 것인지 미리 다 계획을 하고 연기했다.
-'최악의 악' 명장면으로도 꼽힌다. 주변에서 반응도 좋지 않았나.
▶다 좋다고 해줬다. 그러면 나는 '내가 더 기쁠 수 있게 근거를 대서 어떻게 좋은지 말해줘'라고 한다. (웃음) 동료들이 그렇게 좋게 말해주는 게 배우에게는 큰 기쁨이다. 일이라는 게 늘 즐거울 수만은 없는 건데 '최악의 악'은 정말 즐겁고 행복한 작품이었다.
-위하준이 그 연기를 하면서 눈물을 흘렸다고. 앞서 '배드 앤 크레이지'에서 만난 뒤 이번에 같이 연기를 했는데 어떤가.
▶전작에서는 많이 만나지 않았고 이번에 제대로 연기를 해본 것이다. 하준이는 특히 이 현장을 좋아한 것 같다. (위하준이) 7부 연기에서 감정이 컨트롤 돼야 하는데 그게 쉽지 않았던 것 같다. 많이 울더라. 다시 감정을 컨트롤하고 연기를 '깎아서' 장면을 만들고는 했다.
-'우영우'에 이어서 '무빙' '최악의 악' 등 맡는 작품마다 인상 깊은 연기력으로 호평을 받았다.
▶코로나 때문에 (찍은) 작품이 많이 나오지는 않는 상황이었다. 배우는 어쨌든 피드백을 받는 직업이고 욕이든 칭찬이든 누군가 즐기고 있다는 걸 느껴야 힘이 나는 것 아닌가. '우영우' 때 나는 '앞으로 연기를 더 해도 되겠다'는 응원을 받았다고 생각했다. 다작을 하다 보면 힘이 빠질 때도 있다. '최악의 악'에서는 '아 연기를 더해도 되겠다' 또 한 번 느낀 작품이다. 내년의 나 자신에게도 기대를 해보려고 한다.
-'헌트' '무빙' 'D.P.' '최악의 악'까지 연달아 강렬한 이미지의 캐릭터를 소화했다. 이미지가 굳어질까봐 우려는 없나.
▶그런 생각은 안한다. 스스로 귀엽다는 걸 잘 안다. 그렇기에 전혀 걱정은 안 한다. (웃음) '무빙'이나 'D.P' '최악의 악' 댓글을 보면 귀여운 구석이 없는데도 귀엽다라는 내용이 있더라. (웃음)
-작품마다 '이 배우가 그 배우였어?'라는 반응이 많은 배우이기도 하다.
▶그게 배우로서 내게는 최고의 칭찬이다.
-출연을 결정할 때 어떤 점을 고려하나.
▶당연히 대본이 좋아야 하는 게 첫 번째고 감독님이 어떻게 그리고 싶어하는 지 중요하게 생각한다. 지금 이걸 즐거워 하시는지 그걸 보게 된다. 영화가 잘 되고 아니고는 나의 손을 떠난 문제이고 그 결과를 만드는 과정이 긴다. 그건 내 인생에서 많은 시간을 쓰는 일이니까, 그 긴 시간을 즐겁게 할 수 있는 팀이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N인터뷰】②에서 계속>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