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기업

[fn이사람] "전시장 확장·K전시 수출로 코엑스의 경쟁력 키웠죠"

조은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16 18:23

수정 2025.03.16 21:52

이동기 코엑스 사장
'K전시 대부'로 최대 매출 등 성과
2년간 입주사 60여곳 이전 설득
그 자리에 친환경 전문전시관 조성
산업전시 독일 등서 열며 성장 중
베트남 국영기업과 MICE 협약도
이동기 코엑스 사장. 코엑스 제공
이동기 코엑스 사장. 코엑스 제공
"2년여간 60여개 입주사를 일일이 찾아다니며 설득했죠.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게 상설전시관인 '더 플라츠'입니다. 이 전시관 개관으로 중소·중견기업들로부터 코엑스의 문턱이 낮아졌다는 얘길 많이 듣습니다."

이동기 코엑스 사장(58·사진)은 국내 전시산업계 '대부'로 통한다. 이 사장은 지난 1992년 코엑스의 모회사인 한국무역협회 입사 후 지금으로부터 약 30년 전인 1996년 아셈(ASEM) 회의 및 무역센터 확충 사업단 참여로 전시업계와 처음 연을 맺었다. 선진국형 서비스 산업인 '마이스 산업'(회의·관광·컨벤션·전시) 발전에 강한 확신을 가졌다고 한다.

바이오코리아, 월드IT쇼 등을 담당하며 20여년간 전시분야에서 독보적 이력을 쌓고 2022년 한국 전시산업의 메카인 코엑스 사장에 취임해 '역대 최대 매출' '전시장 확장' '해외 전시사업 확대' 등 굵직한 성과를 이뤄냈다.

1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이 사장은 "지난 3년간 코엑스의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는 한편 전시사업 글로벌화, 코엑스의 중장기 경쟁력 확보방안 등을 마련하기 위해 임직원과 함께 많이 고민하고, 함께 뛰었다"고 밝혔다.

국내 전체 전시장 면적은 세계 전시장 면적의 0.7%로 튀르키예, 벨기에, 아랍에미리트(UAE)보다도 작다. 세계 21위 정도다. 일례로 서울의 경쟁도시인 중국 상하이, 선전 등지엔 코엑스의 10배가 넘는 전시장들이 포진해 있다. 한국의 경제규모를 감안할 때 전시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가용 전시공간을 최대한 확보함과 동시에 명실상부한 아시아 최대 전시를 만든다는 것." 이것이 이 사장의 최대 과제였다고 한다.

이 사장 임기 중 코엑스의 전시면적은 종전 4만8000㎡에서 5만3000㎡로 확장됐다. 최근 개관 1년을 맞이한 친환경 전문전시관 '더 플라츠'가 그 결과물 중 하나다. 코엑스 2층 곳곳에 위치한 임대사무소 이전 협상이 우선이었다. "2년간 60여개 입주사들을 찾아다니면서 많이 설득했죠. 다른 공간으로 이동을 제안하기도 했고요." 전시업계에선 이 사장의 추진력이 있었기에 상설전시관 개관이 가능했다고 말한다. 전시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은 인정했지만, 누구도 추진하지 못했던 일종의 숙원사업을 이뤄낸 것이다. 여기에 코엑스가 위탁운영을 맡게 된 코엑스 마곡 컨벤션센터(7452㎡ 규모)까지 더하면 6만㎡가 넘는다.

'K-전시 수출' '전시 글로벌화'도 이 사장이 주력했던 사업 중 하나다. 코엑스가 베트남, 독일, 인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개최하고 있는 각종 산업전시들은 매년 고속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해 9월 코엑스와 베트남 국영기업인 산업투자개발공사(베카맥스IDC)와 무역 및 마이스 서비스 공동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당시엔 베트남 팜민찐 총리까지 참석했다.

이 사장은 최근 국내에서 나오고 있는 '한국판 CES 개최' 목소리에 대해 "이차전지, 자동화, 조선, 의료기기, 수소에너지, K컬처, K푸드 등 한국이 강점인 산업들을 중심으로 각 사업군에서 최소한 '아시아 최고 전시회'로 만드는 작업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