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고려대·서울대 등 의대생 상당수 복귀
의대생 사이 "본인 거취 자유" 목소리도 나와
의대협, 미등록 휴학 투쟁 유지하겠다고 밝혀
의료계 내부서도 '복귀'와 '투쟁' 반응 엇갈려
"단일대오 무너져…학생 수업 참여 전제돼야"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모습. 2025.03.27. photocdj@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3/30/202503301030492397_l.jpg)
[세종=뉴시스] 박영주 한이재 수습 기자 = 지난해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집단으로 휴학계를 냈던 의대생 상당수가 올해 복귀를 신청하면서 의료계 '단일대오'에 균열이 커지고 있다. 의료계 내부에서도 '의대생 제적은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와 '정부와 끝까지 싸워야 한다'는 입장이 엇갈리는 등 내부 갈등이 드러나는 모습이다.
30일 교육계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지난 21일까지 연세대 의대생은 절반 이상 등록을 했으며 고려대도 40% 이상 등록금을 낸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24일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받은 학생들이 대부분 복학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연세대는 100%, 고려대는 80% 이상이 학교로 돌아올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 의대도 '미등록 휴학'에서 '등록 후 휴학'으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전원 등록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종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이사장은 "서울대에서 복귀를 결정했기 때문에 전원 다 돌아올 것"이라며 "연세대도 모집 마감 후 비대위에서 복귀를 결정하면서 100% 복귀하게 됐다. 고려대의 경우 복귀율이 80% 정도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서울대 의대에 이어 연세대 고려대가 '미등록 휴학'에 제동을 걸면서 다른 의대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대라는 상징적인 대학의 의대생들이 등록을 선택한 만큼 다른 대학교 의대생들도 학교로 복귀한 후 투쟁으로 노선을 틀 수 있다는 시나리오다.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모습. 2025.03.27. photocdj@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3/30/202503301030513121_l.jpg)
제적을 피하고자 의대생들이 학교 복귀를 선택하면서 의료계의 '단일대오'도 흔들리고 있다. 실제 지난해 '집단 휴학'을 선택하며 똘똘 뭉쳤던 의대생들 사이에서도 다른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고려대 의과대학 전 학생 대표 5인은 지난 25일 입장문을 통해 "본인의 결정을 주저함 없이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며 "더 이상 불편한 시선 없이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자유를 충분히 보장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서울대와 연세대 일부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고 '미등록 휴학' 투쟁 기조를 유지했다. 의대생 사이에서도 열외가 생기면서 '내부 갈등'이 표출된 셈이다.
의대생들이 휴학 대신 복귀를 선택한 배경에는 그동안 선배급인 전공의와 대한의사협회(의협) 등에서 이렇다 할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자 각자도생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전공의와 달리 의사 면허가 없어 복귀하지 않아 제적이 확정되면 의업을 포기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도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대학생들의 복귀를 계기로 의료계에서도 내부 분열이 시작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지난 24일 SNS에 "의협은 의대생들의 일일 뿐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면서 "아무도 위기에 처한 의대생을 도와줄 계획이 없다면 앞길이 창창한 의대생들은 '그만하고 돌아가라'고 하는 게 어른의 도리"라고 밝혔다.
반면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의협 부회장)은 지난 28일 페이스북에 "양자택일, 미등록 휴학과 복학"이라며 등록 후 수업 거부는 선택지가 없다고 못 박았다. 그는 "처단. 상대의 칼끝은 내 목을 겨누고 있는데,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라며 "아직 주저앉을 때가 아니다"고 의대생들의 '투쟁 동력'을 끌어내고 있다.
의대생들이 학교로 돌아온다고 하더라도 의료교육 정상화나 의·정 갈등 해결의 실마리로 이어질지는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등록은 했지만 수업을 듣지 않는 방식으로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벼르고 있기 때문이다. 여전히 정부의 의료개혁에 대한 불신도 가득하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서울 시내의 한 의과대학 병원에서 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2025.02.25. ks@newsis.com](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3/30/202503301030534625_l.jpg)
다만 의료계 내부에서도 '단일대오'는 깨졌다고 평가하고 있다. 정부가 흔들림 없이 의료개혁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는 정책과 의료 정상화를 위한 추가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정형선 연세대 보건행정학 교수는 "이미 단일대오는 무너졌고 의대생 상당수가 복귀하지 않을까 싶다"며 "(의대 모집인원 3058명이 되려면) 휴학했던 학생들이 돌아와서 수업을 참여하는 게 전제돼야 한다.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3058명 복귀는 오히려 약속 위반"이라고 강조했다.
송기민 경실련 보건의료위원장(한양대 보건학과 교수)은 "정부가 의사와 의대생들보고 돌아오라고만 할 게 아니라 안 돌아왔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며 "의료 공백을 어떻게든 정부가 메꿔야 한다. 국민보고 계속 고통을 감수하라는 건 정부의 태도가 아니다"고 비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gogirl@newsis.com, nowon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