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산자부 주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 파주·의왕 신청

뉴스1

입력 2025.04.10 22:56

수정 2025.04.10 22:56

파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신청.(경기도 제공)
파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신청.(경기도 제공)


의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신청.(경기도 제공)
의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신청.(경기도 제공)


(수원=뉴스1) 최대호 기자 = 경기도는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 중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대상지로 파주시와 의왕시를 공식 신청했다고 10일 밝혔다.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은 지역 내에서 태양광발전소 등으로 생산한 전력은 한국전력공사를 거치지 않고 해당 지역에서 자체 소비하는 '분산 에너지'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이다.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특구로 지정되면 해당 지역 내에서는 분산 에너지사업자가 발전과 판매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일부 요금 자율화도 허용돼 기업과 시민 등 전력 소비자가 유리한 전기요금으로 선택할 수도 있게 된다.

파주시는 국내 최초로 '한국형 CCA(지역 선택형 전력 구매)' 전력 소매사업 모델 조성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파주도시관광공사를 전력 소매사업의 주체로 지정해 총 17메가와트 규모의 공공 재생에너지 생산기지를 조성한다.



기업과 시민에게 '알뜰 전기 요금제', 'RE100 요금제' 등 맞춤형 전력 상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일본 돗토리현, 미국 캘리포니아주 등은 이미 지자체가 전력 소매사업을 추진하며 주민 중심의 전력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파주 모델은 이와 유사한 구조로, 국내 전력산업을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하는 첫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의왕시 학의동에서는 민간이 주도하는 친환경 마이크로그리드(전력의 사용자가 생산자의 역할도 하는) 구축과 함께 '도심형 저장전기판매사업'을 실증한다. 전력이 남는 심야 시간이나 잉여 신재생에너지를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저장한 후 수요가 많은 시간에 판매하는 방식이다.

이 모델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해소하고, 기존 전력시장 구조를 보완하는 새로운 수익모델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포화 상태인 경기 북부(연천) 전력 계통의 부담을 완화하고, 추가적인 분산 에너지 유입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도는 특구로 지정될 경우 파주시의 공공주도형 모델과 의왕시의 민간 주도형 모델을 병행 실증한 뒤, 이를 전국 확산을 위한 대표 모델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이번 특화 지역 계획안에 대한 주민공람은 오는 11일부터 5월 11일까지 한 달간 진행된다.

김연지 경기도 에너지산업과장은 "경기도는 에너지 수요가 높은 지역으로, '경기 RE100' 정책으로 국가 에너지 수급 균형에 최선을 다해 왔다"며 "경기도의 특구 지정은 우리나라 전력 계통 부담을 줄이고, 지역경제와 전력시장 구조 전환으로 확장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