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일반

"비트코인 외환보유고 편입? 신중하게 접근해야"...한은 첫 입장 밝혀

김동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16 14:50

수정 2025.03.16 14:50

"가산시장 불안 시 거래 비용 확대 우려 커
IMF의 외환보유액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아"
연합뉴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한국은행이 "비트코인의 외환보유액 편입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의 서면 질의에 이같이 밝혔다. 한은이 비트코인 비축 관련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은은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이 지나치게 높다는 입장이다. 한은은 "가상자산 시장이 불안정해질 경우 비트코인을 현금화하는 과정에서 거래비용이 급격히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1비트코인 가격은 지난 1월 1억6000만원대까지 치솟았다가 최근 1억1000만원대로 추락하는 등 롤러코스터처럼 급등락을 이어가고 있다.

아울러 "국제통화기금(IMF)의 외환보유액 산정 기준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외환보유액은 필요할 때 즉시 활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유동성과 시장성을 갖추고 △태환성이 있는 통화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신용등급이 적격 투자 등급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이 IMF 기준인데, 비트코인의 경우 이런 기준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은은 "현재까지 비트코인의 외환보유액 편입에 관해 논의하거나 검토한 바가 없다"며 "체코, 브라질 등 일부 국가가 긍정적인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유럽중앙은행(ECB), 스위스 중앙은행, 일본 정부 등은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낸 상황"이라고 전했다.

차 의원 역시 신중한 입장을 드러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비트코인 전략 자산 지정은 따로 비트코인을 매입하는 게 아니라 범죄 수익 등으로 몰수된 비트코인을 비축하겠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같은 이유로 보유한 비트코인이 있다면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수 있겠지만, 외환보유액에 편입하는 것은 현시점에서 부적절한 측면이 있다"고 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6일(현지시간) 대선 공약대로 비트코인의 전략 비축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다만, 민·형사 몰수 절차의 일환으로 압수된 연방 정부 소유 비트코인을 비축 대상으로 하고, 당장 추가 매입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차규근 의원실 제공.
차규근 의원실 제공.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