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우리나라가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나라를 콕 집어 동참을 종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일본, 대만 등이 참여를 결정하면서 이 사업의 참여 여부는 우리의 선택이 아니라 트럼프 행정부가 우리 정부에 요구하는 '기본값'이 될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이 프로젝트의 경제성이 높지 않아 보인다는 점이다. 이 사업은 미국 알래스카 북단의 프루도베이의 가스전에서 채굴한 천연가스를 1300㎞에 이르는 수송관으로 운송, 액화한 뒤 수출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를 완수하기 위해선 천문학적 자본을 투입해야 하고, 알래스카의 혹독한 기후도 극복해야 한다. 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공사(AGDC)가 밝힌 사업 규모는 64조원(440억달러)에 이른다. 혹한의 기후를 뚫고 1300㎞의 파이프라인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사업비가 더 불어날 가능성도 있다. 굴지의 에너지 기업인 엑손모빌,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 코노코필립스가 이 사업에 뛰어들었다가 2016년 철수한 이유다.
자칫하면 이명박 정부에서 발생했던 해외자원 개발 손실금액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엿보인다. 이 사업 참여를 피할 수 없다면 우리 정부가 할 일은 한 가지다. 이 사업을 미국발 무역전쟁의 지렛대로 삼는 것이다.
우리 정부가 부담할 금액이 정확히 얼마일지는 아직 예측할 수 없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 일본, 대만에 막대한 프로젝트 참여금액을 요구할 것은 확실하다.
우리 정부는 이 프로젝트가 큰 리스크를 갖고 있지만 동맹 관계를 감안해 참여를 결정했다는 점을 트럼프 행정부에 강조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보편관세를 비롯해 무역관계에서 유리한 조건을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이 사업에는 막대한 양의 수송관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우리 철강업체에서 생산한 수송관이 사용되도록 하거나, 현재 부과 중인 25%의 철강관세 등에 대한 협상 여력도 확보해야만 한다. 우리 정부가 가진 선택지는 좁지만, 이를 현명하게 활용할 협상력을 우리 정부가 발휘하기 기대해본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