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와 핵심 자동차 부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되기 시작하면서 미국 자동차 기업이 큰 혼란을 겪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산 차량 가격이 오르면 미국 소비자들이 미국산 차량을 살 것"이라며 외국산 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가운데서다. 5일(현지시간
2025-04-06 19:18:54【 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전 세계를 1930년대로 회귀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상호 관세 부과 정책으로 전 세계 무역 체제가 100년 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불도저처럼 밀어붙이고 있는 관세 정책이 관세가 정부의 주요 수입원이었던 19세기 당시 미국의 정책과 유사성이 있�
2025-04-06 19:18:46최근 들어 유럽에 뚜렷한 변화가 보이고 있다. 4년째인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기 위한 협상들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유럽 국가들은 종전 이후 안보를 진지하게 생각하며 방위비 증액을 포함해 소홀했던 군사력 강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은 유럽 대륙에 지각 변동을 일으켰다. 냉전이 끝난 후 이어져온 동서간 데탕트(긴장
2025-03-30 18:35:54【 도쿄=김경민 특파원】 일본을 여행하다 보면 한번쯤은 들르게 되는 필수 쇼핑코스, 바로 '100엔숍'이다. 생활용품부터 문구, 간단한 식품까지 없는 게 없다고 할 정도로 풍성한 상품 구성을 자랑하는 이 저렴한 가게들의 역사는 생각보다 깊다. 그 중심에는 단연 '다이소'가 있다. 일본 100엔숍의 시초는 1926년 오사카에서 문을 연 '다카시마야' 백화점 내 이벤트 매장이었
2025-03-23 18:50:45【 도쿄=김경민 특파원】1990년대 초반 일본 경제는 버블 붕괴의 후폭풍으로 장기 불황의 늪에 빠졌고, 국민들은 소비 대신 절약을 생활화했다. 그 시기를 상징하는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100엔숍'이다. '저렴하지만 실용적인' 소비 공간은 일상 속 생존 전략이 됐다. 그 중심엔 '다이소'가 있었다. 다이소는 빠르게 일본 전역을 점령하며 일본인들의 생활 깊숙이 스며들었�
2025-03-23 18:50:42【파이낸셜뉴스 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 전쟁 때문에 국제 금값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관세 전쟁으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지면서 금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인데 온스당 3000달러가 넘은 금값이 현재보다 10% 이상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16일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 따르면 지난 14일(현지시간) 4�
2025-03-16 18:23:07【 실리콘밸리=홍창기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동맹도 품목도 가리지 않고 '관세전쟁' 전선을 확대하고 있다. 주변국에 대한 보복과 협박도 서슴지 않으면서 전 세계를 관세 전쟁에 휘말리게 한 트럼프 대통령은 사실 관세전쟁에 대해 낯선 사람이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정권 시절에도 중국과 집중적으로 관세 전쟁을 벌인 바 있다. 그는 지난 대선 �
2025-03-16 18:23:04오는 11일(현지시간)은 2번째로 백악관을 접수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안팎에서 구조조정에 나선 지 50일이 되는 날이다. '거래의 달인'을 자처한 그는 지극히 기업가적 접근으로 필요 없는 '협력사'와 직원들을 쳐 내면서 자신만의 경영 방식을 만들어 나갔다. 미국인들은 트럼프의 과감한 추진력에 놀라면서도 그의 오락가락하는 거래 방식과 불확실성에 점
2025-03-09 19:1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