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기침은 호흡기계에서 외부 이물질이나 불필요한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중요한 반사 반응이다. 감기, 독감, 폐렴과 같은 호흡기 감염은 기관지와 폐에 염증을 일으키며, 이 과정에서 정상 세포도 손상을 입는다.
정종율 함소아한의원 관악점 원장은 “염증이 생기면 가래가 생성되고, 이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기침이 필수적”이라며 “단 감염이 끝난 후에도 기침이 계속된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라고 28일 조언했다.
감기가 나아도 기관지 점막이 완전히 치유되지 않으면 지속적인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는 폐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남기고 호흡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프고 난 뒤 길어지는 기침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 한의학에서는 병후의 긴 기침이 폐의 기능 실조와 오장육부의 손상으로 이어진다고 본다. 이 경우 손상된 장부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보익 치료가 중요하며 염증 치유와 점막 회복을 위한 청폐(淸肺:폐를 맑게 함. 염증의 치유)의 과정과 손상이 반복되어 갈라지고 메마른 점막의 윤기를 회복하기 위한 보음(補陰), 보신(補腎)의 과정을 통해 기침을 완화할 수 있다
치료만큼이나 생활 관리도 필수적이다. 아픈 후 약해진 장부와 기관지 점막이 잘 치유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과 영양 섭취에 신경 쓰고, 과도한 체력 소모를 피해야 한다. 또한, 공기의 질 관리와 추가적인 감염 예방을 위한 조치도 중요하다. 다중이용시설 방문을 피하고, 필요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정 원장은 "감기나 독감 후 기침이 지속되는 경우, 적절한 한의학적 치료와 생활 관리가 필수적”이라며 “환자의 상태에 맞는 치료를 통해 빠른 회복을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