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회장, 약 1주일간의 中출장 마치고 귀국
글로벌 기업인 30여명과 시주석 대면
시주석, 외국기업에 중국 투자 요청
中 전기차 기업과 사업 협력 모색 전망
글로벌 기업인 30여명과 시주석 대면
시주석, 외국기업에 중국 투자 요청
中 전기차 기업과 사업 협력 모색 전망

[파이낸셜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8일 글로벌 최고경영자(CEO)들과 함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면담을 끝으로, 약 1주일에 걸친 중국 출장을 마치고 귀국했다. 재계는 이 회장이 이번 중국 출장의 후속 조치로 중국 전기차 기업들과의 사업협력을 모색하는 한편, 갑작스럽게 공석이 된 가전·휴대폰 등을 담당하는 DX부문장에 대한 인사에 돌입할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이 회장은 이날 오후 시 주석과의 만남 등 중국 출장의 성과, 삼성 반도체 위기론 등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은 채 김포공항을 빠져나갔다.
이 회장은 앞서 이날 오전 11시께(현지시간)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국제공상계 대표 회견'으로 이름 붙여진 행사에서 글로벌 기업 30여명과 함께 시주석을 만났다. 주요 참석 기업은 미국 특송업체 페덱스, 글로벌 사모펀드 운용사 블랙스톤, 영국계 은행 스탠다드차타드, 미국 제약사 화이자 등이다.
이 회장이 시주석을 대면한 것은 2015년 보아오 포럼 이후 10년 만이다. 이날 면담에서 시 주석은 이 회장을 비롯한 기업인들에게 "중국은 외국 기업인들에게 유망하면서도 안전한 투자처"라며 "개방의 문은 더 넓게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기업을 대상으로 대미투자 확대 요구에 나선 가운데, 시진핑 주석도 대중 투자 유인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 회장은 중국 정부의 글로벌 CEO 초청 행사인 중국발전포럼 참석을 계기로, 베이징 샤오미 전기차 공장, 중국 광둥성 선전 BYD 본사를 방문했다.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중국 전기차 산업과 반도체 및 전장 분야에서 사업 협력을 모색,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회장은 내주 4대 그룹 총수들과 함께 미국의 관세정책 대응을 주제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별도의 면담을 가질 예정이다. 아울러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의 별세로 공석이 된 DX부문장에 대한 후속 인사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외신 등은 가전사업을 이끌어온 한 부회장의 부재로, 삼성전자가 더욱 어려움에 처할 것이란 내용의 보도를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 안팎에선 이 회장이 후임자 물색에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을 내놓고 있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