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한 가운데, 헌법재판소 앞은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8년 전인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당시, 탄핵 반대를 주장하던 지지층의 반발로 집회 현장 분위기가 격화되면서 4명이 사망하는 등 불상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찰은 윤 대통령 탄핵 선고일 당일인 4일 0시를 기해 경찰력 100% 동원이 가능한 '갑호비상'을 전국에 발령했다. 또 전국 기동대 338개 부대 소속 2만여 명이 동원되고, 그중 210개 부대 소속 1만4000명은 서울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예정이다. 탄핵 선고일이 공표된 1일 이후부터 헌재 주변을 집중관리하며 안전 확보에 총력을 다하는 모양새다.
8년 전과 같은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게 하겠다는 굳은 다짐을 엿볼 수 있다. 경찰은 박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이었던 지난 2017년 3월10일에도 ‘갑호 비상’을 발령하고 헌재 주변 경비를 강화했으나, 탄핵 인용 직후 시위가 격화되면서 헌재 일대가 아수라장이 된 바 있다.
특히 경찰 차벽을 부수고 경찰을 폭행하는 등 시위대와 충돌로 인해 부상자만 수십여 명이 발생했고, 총 4명의 사망자가 나오는 비극적인 사태가 벌어졌다. 당시 경찰관도 9명이 다쳤고, 의경 24명도 부상을 당했다.
8년 전의 악몽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경찰은 헌재 반경 150m 구간을 '진공 구역'으로 설정하고 전면 통제에 나설 방침이다. 박 전 대통령 탄핵 심판 당시 차단선이 너무 가까워 방어에 어려웠던 점을 고려해 통제 범위를 기존 100m에서 150m로 확대했다.
또 경찰버스 160여대, 차벽트럭 20여대 등 총 200여대의 장비를 투입해 헌재 내부에는 경찰특공대 20여명을 배치해 테러 상황에 대비할 예정이다. 또한 인사동에서 수운회관 구간 등 찬반 진영 접점에는 완충구역을 설정해 충돌 방지에 주력하기로 했다.
bng@fnnews.com 김희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