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대통령실

尹 "기대에 부응 못해 죄송" 승복 메시지.. 대통령실 참모진 일괄사의·청사 정리수순 [윤 대통령 파면]

김학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04 18:28

수정 2025.04.04 23:06

용산發 공식입장은 안 나와
봉황기 내린 대통령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관계자들이 청사 정문 게양대에 걸렸던 봉황기를 내리고 있다. 봉황기는 우리나라 국가수반의 상징으로, 대통령 재임 기간 상시 게양된다. 연합뉴스
봉황기 내린 대통령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관계자들이 청사 정문 게양대에 걸렸던 봉황기를 내리고 있다. 봉황기는 우리나라 국가수반의 상징으로, 대통령 재임 기간 상시 게양된다. 연합뉴스
적막감 흐르는 관저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에 적막감이 흐르고 있다. 연합뉴스
적막감 흐르는 관저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에 적막감이 흐르고 있다. 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4일 선고했다. 자연인으로 돌아간 윤 전 대통령은 "여러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하다"고 밝히면서 사실상의 승복 메시지를 전했다.

당초 탄핵안 기각 또는 각하에 기대를 걸었던 대통령실은 충격 속에 특별한 입장 발표 없이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대통령실 실장과 수석급 참모진 전원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 이후 국가원수를 상징하던 봉황기가 내려졌고, 직무정지 기간에도 대통령의 공식 행보를 보여주던 영상은 이날 오후 화면이 꺼지는 등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은 정리 수순을 밟아 나갔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변호인단을 통해 "그동안 대한민국을 위해 일할 수 있어서 큰 영광이었다"면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많이 부족한 저를 지지해 주시고 응원해 주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면서 "사랑하는 대한민국과 국민 여러분을 위해 늘 기도하겠다"고 했다.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이란 표현을 시작으로 네 문장의 짧은 입장을 담은 윤 대통령의 이 같은 메시지는 사실상의 승복 메시지로 풀이된다.

앞서 헌재가 이날 윤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하면서 지난 2022년 5월 10일 출범한 윤석열 정부는 1060일 만에 막을 내렸다. 윤 전 대통령은 2년11개월 가까운 임기를 마무리했고, 비상계엄 선포에 대한 정당성을 인정받지 못하면서 헌재는 결국 파면을 선고했다.

헌재의 탄핵 인용에 따라 윤 전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는 조만간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거처를 옮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신변 정리와 사저 정비 등을 위해 며칠간 관저에 머무를 가능성도 있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 인용 뒤 경호 대비책 등을 마련하느라 헌재 결정 이후 이틀 정도 지난 뒤에야 서울 삼성동 사저로 이동한 바 있다.

전날까지만 해도 현안 업무보고와 국무회의 소집,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개최 등 윤 대통령의 업무복귀에 대비하던 대통령실의 움직임은 헌재의 파면 선고에 멈춰 섰다.

이날 오전 11시22분 헌재의 윤 전 대통령 파면 선고 이후 약 17분 뒤인 오전 11시39분께 용산 대통령실 청사 정면 외벽 앞에 게양된 봉황기는 내려갔다.

국가원수이자 대통령을 상징하는 봉황기는 오전 11시40분께 하기를 시작해 1분 만인 11시41분께 완전히 내려졌다.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서울 용산 국방부 본관 건물을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하기로 하면서 취임 후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 청사로 이전해 사용해왔다.

대통령의 공식 행보를 보여주는 영상도 이날 점심시간 이후로 화면이 꺼졌다.

이 같은 침통한 분위기 속에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등 3실장과 장호진 외교안보특별보좌관, 8명의 수석비서관, 안보실 1·2·3차장 등 실장 및 수석급 이상 참모진 전원이 권한대행에게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그 외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에 대한 공식 입장은 내놓지 않았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