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김광일 MBK부회장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회생신청 불가피”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18 16:13

수정 2025.03.18 16:51

국회 정무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응답
18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홈플러스·MBK 파트너스 및 삼부토건'에 대한 긴급 현안질의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가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18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홈플러스·MBK 파트너스 및 삼부토건'에 대한 긴급 현안질의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가 의원들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18일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이 A3-로 하락하면 기업어음(CP) 발행이 어렵기 때문에 부도를 막기 위해 기업회생절차를 밟았다”고 밝혔다.

김 부회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긴급 현안질의에 출석해 “기업회생절차는 지난달 28일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이 확정된 후 3월 1일부터 내부 논의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28일 CP·단기사채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하향 조정되자, 유동성 부족이 예상된다는 사유로 지난 4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법적기일 기준으로 홈플러스는 오는 6월까지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한다.

파이낸셜뉴스가 입수한 금융위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홈플러스의 CP·단기사채·유동화부채는 총 5899억원이다.

이는 증권사를 통해 개인과 법인에게 각각 1970억원, 3119억원 가량 판매됐다. 홈플러스의 전체 부채비율은 1835%에 달한다. 올 1월 말 기준 홈플러스 총자산은 8조9978억원이며 총부채는 8조5328억원이다. 게다가 최근 3년 간 영업적자상태였다. 즉 신용등급 하락 이후 단기자금시장 조달이 어려워지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는 것이 홈플러스 입장이다. 김 부회장은 “3개월간 6000억∼7000억원 규모의 자금 상환 요구가 들어오는데 3개월 내 부도를 막을 방법이 없었다”며 “거래처와 직원들을 보호하려면 (홈플러스를) 회생에 넣고 채권자들과 별도 협의하는 게 맞다고 생각했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부회장은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소상공인 결제 대금 문제를 해소하고자 사재를 내놓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 구체적인 논의 시점이나 금액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정무위 소속 여야 의원들의 의혹제기는 지속됐다. 홈플러스가 자금 조달을 앞두고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알고 있었을 것이란 의혹이 핵심이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홈플러스 회생신청 과정을 둘러싼 의혹을 살피기 위해 신영증권과 신용평가사 2곳에 대한 검사를 진행 중이다. 신영증권은 홈플러스의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를 발행, 해당 ABSTB를 증권사와 투자자들에게 판매했다.

금정호 신영증권 사장은 이날 증인으로 출석해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 진행으로 인해 자금조달 시장이 악화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금 사장은 “(홈플러스) 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떨어졌다고 해도 A3-는 투자적격 등급”이라며 “(투자적격 등) 그런 회사들이 갑자기 회생절차를 신청할지 모른다는 생각을 갖고 있으면 누가 투자를 하겠는가”라고 지적했다.
홈플러스 사태 재발방지를 위한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계기관의 대응방향도 제시됐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현행 대규모유통업법상 최장 60일인 오프라인 대규모 유통업체의 정산기한 적정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올 1~2월 발생한 상거래 대금 중 3400억원을 상환 완료했고, 현금시재(1600억원) 등으로 잔여 채무를 순차 지급할 계획이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