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제약

의약품 관세 25%보다 낮아질까… 美제약사들, 트럼프에 "단계적 적용" 로비 [트럼프 '관세 폭탄' 초읽기]

강중모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4.02 18:17

수정 2025.04.02 18:17

"약 원료 절반 이상 해외서 조달"
美제약사, 관세부담 완화 요구
트럼프 행정부 관세조정 가능성
K제약 "장기적 전략 마련 필요"
의약품 관세 25%보다 낮아질까… 美제약사들, 트럼프에 "단계적 적용" 로비 [트럼프 '관세 폭탄' 초읽기]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의약품 수입관세 부과를 앞두고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미국에서도 관세 저항감이 크고, 후폭풍이 예상되기 때문에 당초 예상보다 완화된 수준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있고,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2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은 지난 2월 말 기자회견에서 "의약품에도 25%나 그 이상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최근 미국 내 제약사들이 '단계적 관세(phased tariff)' 적용을 요구하며 강력한 로비를 벌이고 있어 실제 부과될 관세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미국 현지시간으로 4월 2일(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발표될 예정인 상호관세 정책에는 의약품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의약품 제조 확대를 목표로 관세 부과를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에서 생산하면 관세를 피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펼치고 있다.

관세 부과가 시작되면 미국으로 의약품을 수출하는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직접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업계에서는 실제 관세 부과가 이뤄지더라도 그 피해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미국 수출 규모가 크지 않고, 주로 원료의약품(API) 및 위탁생산(CMO) 의약품이 많아 완제 의약품에 대한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날 한국바이오협회의 이슈 브리핑에 따르면 미국 정책상 공개 의견수렴 절차가 필요하므로 실제 관세 시행이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국 내에서도 의약품 관세에 대한 저항이 상당해서다.

미국바이오협회(BIO)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 바이오기업의 약 90%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의약품의 최소 절반 이상을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미국 제약사들도 정부를 상대로 관세 부담을 완화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관세율이 완화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제약업계는 새로운 제조시설을 건설하려면 5~10년의 기간과 20억달러(2조9310억원) 이상의 비용이 필요하며, 기존 공장에 새로운 생산라인을 추가하는 데도 최소 2년이 걸린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트럼프 행정부도 점진적인 관세 적용을 고려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일부 다국적 제약사들은 미국 내 제조시설 확장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발표했으나, 여전히 많은 제약사는 유럽 및 아시아에서 원료의약품을 조달하고 있다. 최근 일부 기업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발표를 앞두고 항공편을 이용, 미국으로 대량의 의약품을 선적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미국 내 제약업계의 현실과 환자 접근성을 고려하면 관세율이 25%보다 낮게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도 장기적인 전략을 마련하면서 시장 변화에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