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살 곳 없는 서울... 빌라 지하층도 '전세 1억'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9.08 08:34

수정 2021.09.08 08:34

다방,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분석
서울 전용면적 60㎡ 이하 빌라 중
지하층 평균 전셋값 1억435만원 
살 곳 없는 서울... 빌라 지하층도 '전세 1억'

[파이낸셜뉴스] 서울 전용면적 60㎡ 이하 빌라(연립·다세대) 지하층의 평균 전셋값도 1억원이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1년 이후 처음이다. 반지하 등이 포함된 지하 주거지는 옥탑방과 함께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하다고 꼽히지만 무시할 수 없는 가격대를 보인 것이다.

8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서비스하는 스테이션3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2017년부터 올해(8월 말)까지 서울에서 전세 거래된 전용 60㎡ 이하 빌라 지하층의 전세 보증금을 연간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평균은 1억435만원으로 나타났다.

서울 빌라 지하층의 평균 전세금이 1억원을 돌파한 것은 국토부가 관련 실거래가를 집계한 2011년 이후 처음이다.
서울 빌라 지하층의 평균 전세금은 2017년 7801만원을 기록했고, 2018년 8814만원으로 치솟았다. 이어 2020년에는 9500만원, 올해는 1억원을 넘어서며 가파른 상승 폭을 보였다.

올해 서울 빌라 지하층 평균 전세금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서초구로, 1억7434만원에 달했다. 방배동 전용 59.83㎡ 지하층이 3억3000만원, 반포동 전용 43.56㎡ 지하층이 2억8000만원에 전세 거래된 것이 평균값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강남구도 개포동에서 전용 37.35㎡ 지하층이 3억5000만원에 거래된 영향으로 1억7073만원의 평균 전세금을 기록했다. 이어 △종로구(1억6031만원) △용산구(1억4387만원) △영등포구(1억3214만원) △중구(1억30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에서 올해 전세금이 가장 높은 빌라 지하층은 종로구 부암동의 전용 59.87㎡ 매물이었다. 2020년에 지어진 신축 빌라로, 4억원에 거래됐다. 용산구 이태원동에 들어선 전용 41.76㎡ 지하층은 3억8000만원, 북아현동에 들어선 전용 59.36㎡ 지하층은 3억5000만원에 전세 거래돼 평균치를 웃돌았다.
반면 서울 빌라 지하층 평균 전세금이 가장 낮은 자치구는 도봉구(7089만원)로 집계됐다. 이어 △노원구(7200만원) △강북구(7909만원) △은평구(8015만원) △양천구(8114만원) △중랑구(8429만원) 순으로 전세금이 낮았다.

다방 관계자는 "최근 집값과 전월세 가격 급등 영향으로 주거 취약 시설인 빌라 지하층의 전세금도 오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딥시크(DeepSeek), AI 판도 바꾸나

중국에서 개발한 저비용 인공지능 딥시크(DeepSeek)가 출시되었습니다. 오픈AI가 만든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자랑하지만, 개발비는 20분의 1수준인 550달러에 그쳐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저렴한 비용, 우수한 성능, 빠른 처리 속도 등과 같은 장점들과 오픈AI와 다른 오픈 소스 전략을 도입한 딥시크. 이로인해 AI 생태계의 주도권이 중국에 넘어가진 않을지 모두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의 생각하기에 딥시크가 AI 시장의 경쟁의 판도를 흔들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04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